‘첼로스퀘어 콘퍼런스 2025’ 성료
삼성SDS가 ‘첼로스퀘어 콘퍼런스 2025’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삼성SDS는 분석형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업의 공급망 리스크 해결을 돕고, 물류 비즈니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 관련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할 것을 강조했다.
26일 잠실캠퍼스에서 열린 이번 행사는 디지털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에 구현된 분석형 AI를 활용한 ‘출항일 및 도착 예정일 예측 (Predictive ETD & ETA)’, ‘환적 및 하역 항구 이슈 조기 감지’ 등 정교해진 서비스와 생성AI 기술을 접목한 물류시황 정보 및 분석 리포트 등 고객 편의 서비스를 소개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삼성SDS는 이 자리에 화주와 e커머스 셀러, 파트너사 등 업계 관계자 등 600명을 초청해 글로벌 정세의 변화와 시장 트렌드, 공급망 리스크 해결을 위한 디지털전환(DT) 해법 등에 대해 논의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은 ▲지정학적 리스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글로벌 해운동맹 재편 등 항공 및 해상 물류 전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같은 혼란의 시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크를 빠르게 감지하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을 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특히 물류 비즈니스에 데이터를 수집하고 통합하는 IT역량을 활용하게 되면서 여러 출처의 정보 속에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삼성SDS는 “선사가 제공하는 화물의 도착 예정일(ETA) 정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분석형 AI 기술을 활용해 도착예정시간 예측(Predictive ETA)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선박의 이동시간 및 항만 체류시간은 물론 항구별 혼잡도까지 변수에 포함해 예측 정보의 정확도도 높였다.
또 선적 예약 후 변동 가능성이 있는 출항일(ETD)을 예측하는 서비스도 추가해 화물의 선적부터 최종 도착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예측하여 선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했다고 삼성SDS는 부연했다.
목적지 항구의 재난 및 파업으로 인해 하역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면 리스크 요인을 감지해 하역항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내륙운송 계획을 세우는 등의 기민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시스템과 프로세스도 마련했다.
삼성SDS는 “첼로스퀘어는 생성AI를 활용하여 글로벌 물류 리스크를 센싱하고 위험도를 판단한다. 이 중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동을 산출해 고객 및 물류 운영자에게 자동으로 통보하고 이슈에 대응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췄다”고 강조했다.
언제든 챗GPT 스토어(GPTs)의 첼로스퀘어 채널에 접속해 견적조회, 적재 최적화, 화물 추적 등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에 최근 상하이 컨테이너 운임 지수(SCFI) 등 종합지수를 분석하고 관련 리포트를 생성해 제공하는 서비스도 추가됐다.
삼성SDS 오구일 물류사업부장(부사장)은 “관련 기업들은 심화되는 글로벌 변동성으로 인해 물류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빠르고 정확한 글로벌 물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AI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데이터 분석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인텔 “손쉽게 엣지 AI 통합, 개방형 생태계 강화한다”
- 삼성SDS, GPUaaS 사업 본격화한다
- SK스퀘어 자회사 ‘FSK L&S’, 美 ‘배터리 벨트’ 진출
- 과기정통부, SW 공급망 보안모형 구축 지원사업 추진
- 현대오토에버, MCL코리아와 물류 지능화 기술 혁신 ‘맞손’
- 한컴·삼성SDS 컨소시엄,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 에이전트AI 도입 확산세…美 IT임원 77%는 ‘올해 도입 계획’
- 오케스트로, 투모로우넷과 日 클라우드 시장 공략 정조준
- CJ올리브네트웍스, 클라우드 사업 확대 본격화
- “올해 생성AI 지출액 6,450억 달러…매출 80%는 서버 등 HW에서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