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함께 4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2회 미래국방 전략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미래국방 전략포럼은 국방 안보에 첨단기술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민간의 우수한 기술을 효율적으로 국방분야에 적용하고 기술동향을 공유해 효율적인 국방 연구개발 투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회의다.
올해는 미래전장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평가되는 양자 기술을 주제로 서경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원장, 신상범 국방기술품질원 원장, 군 미래혁신연구센터장 등 민·관·군 관계자 150여명이 참석해 다양한 의견을 교류했다.
정일룡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양자정책센터장은 국내외 양자과학 기술 정책 및 투자 동향을 분석하고 국방분야 양자 기술의 수출입통제 및 공급망 위기 등 주요 이슈 및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인용섭 국방과학연구소 팀장은 군의 감시정찰 및 통신보안 활용을 위한 국방과학연구소 양자 기술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미래전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양자 연구개발 가속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자암호 네트워크, 다이아몬드 기반 양자센싱 등 양자기술 관련 최근 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민간 양자 연구개발 역량의 기술 국방 적용 방안을 제안했다.
김태규 가천대학교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된 토론에서는 김종영 국방기술진흥연구소 팀장과 송충호 LIG넥스원 위원, 이동헌 고려대학교 교수, 인용섭 국방과학연구소 팀장, 정일룡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센터장,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이 참여해 ‘국방분야의 양자 기술 접목 가속화를 위한 효율적 투자방향’을 주제로 논의를 진행했다.
참석자들은 양자 기술의 국제 동향과 국내 기술 현황을 논의하며 양자 기술의 특성인 높은 보안성과 정밀성이 국방분야의 암호통신, 정밀 탐지 등에 적용될 필요가 있음에 공감대를 형성했으며 적극적인 민군협력이 중요한 분야임을 강조했다.
서경춘 과기정통부 연구개발투자심의국장은 “이번 포럼이 계기가 돼 실험실의 양자 기술이 국방 현장에 실증돼 기술성숙도를 높이고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과학기술혁신본부는 10대 국방전략기술의 핵심 중 하나인 국방 양자 기술 발전을 위해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게임 분야에 양자기술 적용…노르마, 네오위즈와 ‘맞손’
- ETRI, 연세대·파스칼과 양자컴퓨팅 협력…알고리즘 협력 연구체계 구축
- SKT, 美아이온큐와 파트너십…AI·양자컴퓨터 전략적 제휴
- KT, 5G 유심망 하이브리드 양자암호 네트워크 국내 최초 적용
- 산업부, 이스라엘과 공동 R&D 정책 방향 논의
- 과기정통부, 올해 R&D사업에 6조3000억원 투입
- 양자정보기술 국가표준 1호 제정…양자 산업화 기반 구축
- ETRI, 해군사관학교에 스텔스 와이파이 구축
- 한컴라이프케어, UAE 방산기업과 ‘IDEX 2025’ 공동 참가
- ETRI, ‘올해의 ETRI 연구자상’에 엄용성 박사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