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벤처투자 중 딥테크 10대 분야 총 투자액은 전년보다 3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투자 규모가 가장 큰 분야는 인공지능(AI) 분야로 조사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8일 지난해 딥테크 10대 분야 벤처투자 동향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는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벤처투자회사·조합의 투자를 받은 기업을 분석한 결과다.
중기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벤처투자 중 딥테크 10대 분야에 대한 투자는 총 3조6000억원으로 전년비 약 34% 상승했다. 최근 5년 중 최대 규모로 딥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바이오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 분야 투자가 각각 전체 딥테크의 33%, 26.7%로 최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AI의 경우 전체 딥테크 분야 중 가장 큰 폭(4,158억원)으로 증가했다.
분류별로 보면 AI 소프트웨어(SW) 개발 및 공급 분야에 대한 투자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했다. AI 구축·관리 및 관련 정보 서비스, AI 연산 및 처리 부품·장치 제조·설계의 증가율은 각각 113.9%, 290.9%로 나타났다.
2024년 벤처투자를 유치한 딥테크 기업 중 모태 자펀드의 투자 또는 창업지원사업 참여 이력이 있는 기업은 총 722개사로 전체의 75.1%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682개사가 모태자펀드를 통해 총 8조8070억원의 투자를 받았고, 353개사가 창업지원사업을 통해 총 2,226억원의 자금 및 특별보증을 지원받았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과 AI 활용·확산안 등의 체계적 이행을 통해 유망 딥테크 분야에 대한 벤처투자를 활성화하고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딥테크 스타트업을 길러내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퓨처플레이, 서울대 창업지원단과 학내 딥테크 창업기업 육성 협력
- ‘대전 스타트업 파크’ 공식 개소…중기부 “과학기술 기반 창업 집중 지원”
- 아기유니콘에서 글로벌 유니콘으로…시큐리티플랫폼, 해외 공략 ‘기지개’
- [데스크칼럼] 올해 스타트업 기상도…반도체·AI·바이오 ‘맑음’
- 중기부, 美실리콘밸리서 유망 딥테크 IR 지원
- [데스크칼럼] 다사다난한 2024년…스타트업계 성적표는 어땠나
- 경기혁신센터, ‘제27회 스타트업815IR-시드그랑프리’ 성료
- 딥테크 혁신이 견인하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의 미래
- 중소 제조기업 AI 활용에 제한…업종 고려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필요
- 한컴, 하노이 국립경제대와 AI 기반 업무 혁신 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