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주관 실증, 지팡이 미세진동으로 탑승 정보 제공
LG유플러스가 현대차·기아 주관으로 교통약자인 시각장애인이 안전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도록 진행한 특화 단말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6일 밝혔다.
이 사업은 현대차·기아의 2023 아이디어페스티벌에서 대상을 수상한 ‘시각장애인 이동접근성 향상을 위한 데이지(Day-Easy) 기술개발’ 과제를 LG유플러스가 수주해 진행됐다.
데이지는 시각장애인이 걸어갈 때 사용하는 흰지팡이와 스마트폰을 연동해 안전하고 편리한 버스 탑승을 지원하는 기술로 시각장애인의 일상에서 이동을 쉽게 돕는다는 뜻을 담았다.
전국의 시각장애인은 약 25만명에 달한다. 국토교통부의 조사(교통약자 이동 편의 실태조사연구, 2021)에 따르면 시각장애인들의 시내버스 이용률은 34.6%로 다른 교통약자들보다 낮은 수준이다.
이는 버스에서 제공되는 음성 안내가 불명확하고 정류장에 여러 대의 버스가 도착했을 때 탑승해야할 버스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 탑승구의 위치도 찾기 어렵고, 기사와의 소통이 어렵다는 점도 주요 불편사항이다.
LG유플러스와 현대차·기아는 버스의 실시간 정보를 수집하는 버스정보시스템(Bus Information System, BIS)과 연계, 시각장애인 특화 앱 기반으로 동작하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이 솔루션에서 시각장애인은 탑승할 버스 노선을 앱을 통해 승차 예약 후, 다가오는 버스의 실시간 위치를 음성 안내와 동시에 흰지팡이의 진동으로 안내받는다. 미세한 진동의 세기를 통해 탑승하려는 버스의 위치와 정차 순서, 상대적 거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하차벨 기능도 지원해 시각장애인의 하차 의사를 버스 기사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버스 기사는 운전석에 부착된 데이지 알림 장치를 기반으로 정류장 마다 시각장애인의 승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양측은 향후 지자체 시스템과 연계하는 실증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박준석 LG유플러스 모빌리티사업담당은 “기간통신사로서 전 국민의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을 만들어가는 활동을 전개해왔다”며 “기술을 통한 도전과 도약으로 시각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가 가치 있는 일상을 보내는 밝은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데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美 디트로이트서 투자설명회…유망 스타트업 발굴·협력 확대
- 중소 제조기업 AI 활용에 제한…업종 고려한 ‘전문기업 지정제도’ 도입 필요
- MZ세대 의견 실서비스에 반영…LGU+, ‘참여형 멤버십 프로젝트’ 확대 시행
- 장애인 접근성 개선 아이디어 찾는다…LG전자, 특허청과 공모전
- LG전자, 최대 규모 ‘접근성 콘퍼런스’ 출전…접근성 강화 기술·솔루션 선봬
- 삼성, ‘CES 2025’ 출전…“초개인화 위한 홈AI 솔루션 공개”
- 장애인·시니어 가전 접근성 개선…LG전자, ‘컴포트 키트’ 6종 추가
- 카카오, 시각장애 특수학교에 ‘카카오 점자달력’ 전달
- 카카오모빌리티, 日택시단체와 MOU…스마트 택시 인프라 구축 ‘맞손’
- 한컴, 한국시각장애인엽합회와 웹 접근성 개선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