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서비스AI 전략 일환,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 가능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생성AI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가 24일 국내 기업의 주요 생성AI 모델 중 처음으로 상업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개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열린 테크밋업 현장에서 하이퍼클로바X의 경량 모델 3종(HyperCLOVA X SEED 3B/HyperCLOVA X SEED 1.5B/HyperCLOVA X SEED 0.5B)의 개발을 완료하고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국내외 기업·연구기관은 이 모델을 다운로드 받아 필요에 맞게 조정해 비즈니스 및 학술 연구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공개된 오픈소스 모델인 HyperCLOVA X SEED는 연구용으로만 사용가능했던 기존 국내 기업들의 주요 모델과 달리 상업 목적으로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HyperCLOVA X SEED 3B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영상 정보도 처리할 수 있는 시각언어모델로 도표 이해, 개체 인식, 사진 묘사 등의 능력도 갖췄다.
네이버클라우드에 따르면, 한국어·한국문화와 영어 관련 시각 정보 이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9개 벤치마크의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HyperCLOVA X SEED 3B는 유사 규모의 미국·중국 빅테크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고 파라미터 수가 훨씬 많은 해외 대규모 모델과 유사한 정답률을 보였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상품 페이지의 정보를 인식해 광고 카피를 제안하는 솔루션을 구축하거나, 사진 및 영상 콘텐츠와 함께 국내 여행지 정보를 안내하는 서비스를 설계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대표는 “네이버의 온서비스AI(On-Service AI) 전략이 가속화되면서 네이버 서비스에 안정적, 비용 효율적 적용이 가능한 경쟁력 있는 특화 모델들을 생산하고 있고, 최근 가장 니즈가 많은 모델이 경량 모델과 추론 모델이었다”면서 “이 중 기업들이 GPU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한 것”이라고 배경을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하이퍼클로바X의 플래그십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reasoning) 모델도 상반기 중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모델은 추론 모델의 근본적 강점인 수학·프로그래밍 분야에서 더 정확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을 넘어 시각·음성정보 이해, 자동 웹 검색, API 호출, 데이터 분석 등 그간 개발해 온 하이퍼클로바X의 각종 능력이 추론 모델을 기반으로 함께 고도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AI가 어떤 도구를 활용해야 하는지 사용자가 직접 지정해야 하는 기존 AI와 달리 추론 모델을 통해 하이퍼클로바X가 적절한 도구를 스스로 선택하는 역량이 강화됐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향후 이미지·영상·음성으로 확장한 멀티모달 모델, 저비용 경량 모델, 강력한 추론 모델을 중심으로 하이퍼클로바X를 고도화하고, 이를 대규모 사용자 기반의 네이버 서비스에 적용하거나 기업용 솔루션 개발과 오픈소스 공유를 통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에도 나선다.
김 대표는 “최근 전세계적인 관심을 받는 소버린AI는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운 과제이자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요구되는 일종의 체력전”이라며 “이 과정에서 기술 확보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 밀착한 혁신적인 AI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탄탄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적인 요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저변 확대를 위한 이러한 노력이 국내 소버린AI 생태계의 체력을 더 단단히 하는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국내 외장형 ESS 시장 2년 연속 감소세…“GPU 확보에 집중, 투자 제한적”
- 국내 공공 AX 해법 찾는다…KT, 공공기관 대상 ‘AX 전략 세미나’ 성료
- “인공지능(AI) 조기 도입한 기업 92%는 이미 투자수익률(ROI) 실현”
- 제조혁신 기술 조망…삼성SDS, ‘인더스트리 데이’ 세미나 성료
- “사진 한 장으로 초실사 AI아바타 생성 가능”
- AWS, ‘아마존 Q 디벨로퍼’ 한국어 지원 확대
- [데스크칼럼]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 스타트업의 미래는 어디로
- AI시대, 비정형 데이터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 알리바바클라우드, 자체 개발 AI 확산 본격화
- 네이버클라우드, 부산시와 MOU…AI 행정혁신 추진 ‘맞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