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두아즈 지역에 전처리 공장 건설, 2027년 본격 가동
DBG 수거 인프라 활용해 배터리 자원 선점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이 프랑스 1위 메탈 재활용·환경 서비스 기업인 데리시부르그(Derichebourg, DBG)와 손잡고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법인(JV)를 설립했다. 유럽 내 최초 한-유럽 리사이클 합작기업이다.
프랑스 북부 발두아즈 지역 브뤼에르 쉬르 우아즈에 2026년 착공한 뒤 2027년 본격 가동을 시작하며 연간 2만톤 이상의 사용 후 배터리 및 스크랩(Scrap) 처리 능력을 갖출 예정이라고 LG엔솔은 설명했다.
신규 합작법인은 현지에서 수거된 사용 후 배터리와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스크랩을 안전하게 파쇄·분쇄해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Black Mass)을 만드는 전처리 전문 공장이다.
전처리 과정으로 추출된 블랙 매스는 후처리 공정을 통해 리튬·코발트·니켈 등 핵심 메탈로 재생산되고 양극재 생산과정을 거쳐 LG엔솔 글로벌 생산시설에 최종 공급될 예정이다.
양사는 LG엔솔의 유럽 생산 거점인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을 통해 제공된 배터리 공정 스크랩과 DBG가 프랑스 및 인근지역에서 수거한 사용 후 배터리를 활용해 원료를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유럽자동차공업회(ACEA)에 따르면 프랑스는 2024년 유럽 전체 전기차(EV) 판매량의 15%를 차지할 만큼 배터리 수요가 커 향후 사용 후 배터리 자원 또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DBG는 프랑스 메탈 재활용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프랑스 전역에 200여개가 넘는 수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LG엔솔 관계자는 “사용 후 배터리는 국외 운송이 까다롭고 운송 비용도 높아 원활한 자원 확보를 위해서는 배터리 수요가 많은 지역 내 전처리 공장 설립이 중요하다”며 “프랑스에서의 이번 협력이 유럽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 확대의 디딤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LG엔솔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유럽 내 지속가능한 배터리 생태계 구축을 가속화하고 유럽 배터리 재활용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시행된 유럽연합(EU)의 배터리 및 폐배터리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2031년부터 유럽 내 배터리 원재료 재활용 비율은 코발트 16%, 리튬 6%, 니켈 6%로 의무화된다.
2036년부터는 코발트 26%, 리튬 12%, 니켈 15%로 기준이 상향되는 만큼 선제적인 투자를 통한 규제 대응이 필수다.
LG엔솔은 “가격 경쟁력을 갖춘 핵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조달해 공급망 경쟁력을 높이고, 유럽 내 생산·판매·라사이클 등 배터리 전 생애주기에 이르는 자원 선순환 체계를 공고히 해 고객가치 역량도 한층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엔솔 최고전략책임자(CSO) 강창범 전무는 “이번 협력을 통해 안정적 배터리 공급망 구축은 물론 유럽 배터리 리사이클 규제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배터리 리사이클 사업에서도 차별화된 기술 및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최고의 고객가치를 선보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DBG 압데라만 엘 어피어 CEO는 “이번 파트너십은 환경적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 솔루션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를 전폭적으로 뒷받침하는 동시에 지역 사회와의 연계를 더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SK온, 美 EV 스타트업 ‘슬레이트’에 배터리 공급한다
- 새 배터리 공개한 中 CATL…“5분 충전으로 520km 주행 가능”
- LG전자, 캐즘 장기화 여파 ‘EV 충전기 사업’ 접는다
- LG엔솔, 美 애리조나 인재교육센터 오픈…현지화 전략 ‘잰걸음’
- 엘앤에프, 3조5000억원 규모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 계약
- 국내 배터리3사, 내달 ‘인터배터리 2025’서 신제품·기술 각축전 예고
- SK온 “전고체 배터리 기술 난제 해결”…연구개발 성과 공개
- 각형 배터리 개발한다…LG엔솔, GM과 ‘맞손’
- 차세대 이차전지 민관협의체 성과공유회…기술 동향·사업성과 공유
- 폐배터리 수거로 자원 재순환…협의체 ‘배리원’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