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46시리즈, 열전파 차단, 무선 BMS 등 공개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3사가 내달 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하는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에 부스를 마련하고 다양한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올해 13회째인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배터리산업협회·코엑스·코트라 등이 공동 주관하는 행사로, 올해는 주요 배터리 업체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관련 기업 등 역대 최대 규모인 640여개사가 참가한다.

LG엔솔은 올해 참가 기업 중 가장 큰 규모인 540㎡(163평) 규모의 전시장을 마련하고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로 불리는 46시리즈 셀 라인업을 대중에 첫 공개한다.

46시리즈는 기존 배터리 대비 에너지와 출력을 최소 5배 이상 높이며 향후 원통형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평가받는 제품이다.

원통형 배터리 성능을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한 배터리 모듈·팩 솔루션 CAS(Cell Array Structure)도 전시한다.

LG엔솔의 배터리가 탑재될 미국 태양광 전기차 스타트업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모빌리티 차량도 전시된다.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팩을 동시 적용해 주행거리를 극대화한 앱테라 모터스의 새 모빌리티 제품이다.

전시에는 LG엔솔의 배터리 관리 토털 솔루션(BMTS) 기술을 비롯해 원가 경쟁력을 높인 리튬인산철(LFP)-셀투팩(CTP), 고전압 미드니켈 파우치 셀, 소형 배터리 셀이 탑재된 로봇 등이 전시된다. 

이외에도 건식전극 공정을 비롯해 바이폴라 배터리, 소듐이온 배터리, 100% 리사이클 양극재 적용 소형 파우치 셀 등도 전시된다.

LG엔솔 관계자는 “단순 배터리 제조를 넘어 에너지 순환 전반의 생태계 중심에 서서 무궁무진한 비즈니스 기회를 열어 나가겠다는 LG엔솔의 비전과 성장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삼성SDI]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삼성SDI]

삼성SDI도 현장에 부스를 마련하고 최근 상품화 적용 검토를 완료한 ‘열 전파 차단(No-TP)’ 기술 등을 선보이며 자사 각형 배터리의 차별화된 안전성을 소개할 예정이다.

No-TP는 배터리 제품의 특정 셀에 문제가 발생할 때 셀과 셀 사이에 적용된 안전 소재 등에 의해 다른 셀로 열이 전파되는 것을 물리적으로 막아주는 기술이다.

전고체 배터리(ASB)의 개발 현황도 소개한다.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가 목표인 삼성SDI는 지난해 말 다수 고객에게 샘플을 공급해 평가를 진행한 데 이어 현재 다음 단계의 샘플을 준비하고 있다.

실물 크기의 차량 하부구조 목업에 탑 터미널 각형 배터리와 사이드 터미널 각형 배터리를 탑재한 CTP 콘셉트 제품도 전시한다.

양극과 음극 단자가 상부에 위치한 탑 터미널 방식과 달리 사이드 터미널은 이를 측면에 배치해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향상시켰다고 삼성SDI는 설명했다.

50A급 초고출력 원통형 배터리, 삼성배터리박스(SBB) 1.5 등도 전시된다. 삼성SDI의 21700 원통형 배터리 4천개가 탑재된 오토노머스에이투지(A2Z)의 미래형 자율주행셔틀 로이(ROii)도 전시된다.

삼성SDI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차별화된 기술력과 품질에 기반한 질적 성장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배터리 기술로 업그레이드 되는 우리의 일상과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기술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SK온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SK온]
SK온 인터배터리 2025 부스 조감도 [사진=SK온]

SK온도 전시회에 부스를 마련하고 3대 폼팩터(파우치형/각형/원통형)를 모두 전시한다. 특히 원통형 실물 모형을 처음으로 공개하고 원통형 배터리 개발 전략과 방향성을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SK온은 지난해 하반기 원통형 파일럿 라인을 준공하며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다.

각형 배터리는 양방향에 이어 단방향 모델을 추가해 올해 전시한다. 각형 배터리에 적용된 Z-폴딩 스태킹 기술 및 급속충전 솔루션도 소개된다.

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춰 케미스트리(양극재·음극재)를 달리한 제품들도 여럿 선보인다. 이번 전시회에서 SK온은 가격경쟁력과 성능, 수명, 안정성을 고루 갖춘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를 처음으로 공개한다.

SK온은 “이번에 선보이는 고전압 미드니켈 배터리는 값비싼 니켈과 코발트 함량을 낮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에너지밀도 향상을 위해 높은 전압을 활용했다”며 “SK온이 개발한 다양한 기술로 미드니켈 배터리의 안정성과 수명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강화했다”고 강조했다.

안전과 관련된 최신 기술도 공개한다. 이번 전시회에서 SK온은 배선이 필요 없는 차세대 무선 BMS를 선보인다. 

배터리 셀 탭에 부착된 무선 칩이 수집한 정보를 모듈의 안테나가 BMS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구조다. SK온이 SK엔무브와 협력해 개발하고 있는 액침냉각 기술도 이번 전시회에서 공개된다.

SK온 관계자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 트렌드 변화에 맞춘 SK온의 배터리 폼팩터·케미스트리 다변화 전략 및 혁신 기술을 이번 전시회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끊임없이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사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차별적 경쟁 우위를 확보해 나갈 것”이라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