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사 오픈 콘퍼런스’서 시각화 기반 SW 품질 개선안 공유
현대오토에버가 27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허에서 열린 ‘제16회 오토사 오픈 콘퍼런스(AOC)’에서 최신 차량용 소프트웨어(SW) 기술 트렌드를 공유했다고 30일 밝혔다.
AOC는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함께 만든 차량SW 표준인 오토사(AUTOSAR)의 발전과 혁신에 대해 논의하는 행사다. 올해 행사는 소프트웨어정의차량(SDV) 과제를 위한 오토사 솔루션을 주제로 열렸다.
오토사는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의 준말로 자동차에 들어가는 SW 구조가 정형화된 플랫폼을 뜻하며 SW 구조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복잡해지는 차량SW의 구조를 표준화할 필요에 의해 2003년 발족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오토사 협회에서 프리미어 파트너로 활동 중이다. 현대오토에버 이외에 메르세데스-벤츠와 보쉬(Bosch), 일렉트로비트(Elektrobit) 등 글로벌 유명 완성차OEM과 차량SW 기업 30여곳이 이번 행사의 연사로 나섰다.
현대오토에버는 발표에서 오토사 기반 운영체제(OS)를 지속성 테스트(Continuous Test) 할 때 결과를 시각화하는 것이 품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지속성 테스트는 SW 개발을 시작하는 계획 단계부터 최종 배포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에서 품질을 검증하는 방법이다.
SW를 배포하기 직전에 품질을 검증하는 방식과 달리 지속성 테스트는 조기에 오류(버그)를 발견하고 수정해 개발 속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현대오토에버가 발표한 자료는 3년 간 자체 차량SW 개발 과정에서 축적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자체 개발한 툴을 사용해 차량SW 테스트 결과를 차트로 시각화하고 개발자들이 시각화한 차트를 통해 개선사항을 빠르게 찾을 수 있다고 제언했다.
기존에는 개발자가 차량SW의 품질 검증을 위해 코드 데이터를 하나씩 분석해야 해 최소 하루 이상의 검증 시간이 필요했다. 현대오토에버가 개발한 툴은 코드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시각화 자료로 자동 분석해준다.
개발자는 어떤 데이터를 수정해야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지 수분 내로 파악할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현대오토에버는 오토사 표준을 충족하는 현대자동차그룹의 표준 차량SW플랫폼인 ‘모빌진(mobilgene)’을 자체 개발했다. 모빌진은 현재 현대차·기아·제네시스 등 현대차그룹의 모든 양산차에 적용되고 있다.
관련기사
- 현대모비스, 경주에 통합물류센터 개소…자동화 시스템 도입해 효율성 개선
- 팝콘사, 산업부 ‘미래 모빌리티 사이버보안’ R&D과제 사업자 선정
- 디지털트윈(DW) 기술이 견인하는 ‘포렌식(Forensic) 프로세스’의 혁신
- 전기차(EV) 배터리셀 열폭주 방지…자동진압 기술 나왔다
- SK하이닉스, 메모리 업계 최초 완성차 정보보안 인증 ‘TISAX’ 획득
- 일렉트로비트, EB 코르보스 리눅스 SDK ‘AWS 마켓플레이스’서 배포
- 삼성전기, 獨 ‘일렉트로니카 2024’ 참전…AI·전장용 솔루션 선봬
- 삼성 ‘LPDDR4X’, 퀄컴 ‘스냅드래곤 디지털 섀시’에 탑재
- 키사이트·이타스, 전장시스템용 사이버보안 솔루션 공급 ‘맞손’
- 팹리스 파두, 바이윈과 손잡고 中시장 진출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