팹리스 NPU 조기 상용화 지원, 관련 기업과 생태계 활성화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반도체 팹리스의 신경망처리장치(NPU) 조기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5월 추경으로 편성한 인공지능(AI) 반도체 분야 사업과 관련한 통합 설명회를 11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AI반도체 분야 중요성을 고려해 연구개발, 실증, 인재 양성 등에 이번 추경 494억원을 포함한 총 2,434억원을 투자한다.
이번 추경사업은 우수한 기술력을 갖춘 국내 유망 반도체 팹리스들이 NPU 조기 상용화에 필수적이라고 요청한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AI반도체 분야 추경 사업은 AI 컴퓨팅 실증 인프라 고도화와 AI 전환 실증 지원, AI반도체 사업화 적시 지원, AI-반도체 해외 실증 지원, 국산 AI반도체 기반 디바이스 AI 전환 개발·실증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AI 컴퓨팅 실증 인프라 고도화 사업 및 AI 전환 실증 지원 사업, AI반도체 사업화 적시 지원 사업은 이달 30일까지 공고를 통해 신규 과제 수행자를 모집한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이번 설명회와 연계해 AI반도체 팹리스 간담회도 연다. 간담회에 서버 및 엣지향 NPU를 출시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참석해 국산 AI반도체 산업 생태계 활성화 및 지원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박태완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그간 기업과의 긴밀한 소통을 바탕으로 정책 수요를 발굴해 이번 추경 사업 등 기업이 실제 필요한 지원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사업 기획은 물론 집행 과정에서도 지속 의견을 청취해 국내 반도체 팹리스에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국산 NPU가 조기에 상용화되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FPGA 탄생 40주년…‘반도체 혁신’을 견인한 여정을 기념하며
- 과기정통부,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사업 재공고
- 반도체 최고액 수출에도 5월 수출 1%대 감소
- 유상임 과기정통부 장관 “ICT 기술사업화 위한 범정부 협력체계 구축”
- 산업부, 산업 AI 개발·확산 목표 445개 과제 4,787억원 투입
- 지난해 반도체 제조장비 투자액 1,171억 달러…전년비 10% 증가
- 정부, K-온디바이스AI 반도체 개발에 1조원 투입
- 트럼프발 관세 대응…정부, 반도체 업계 경쟁력 키운다
- 이스트소프트, 퓨리오사AI와 AI반도체 인재 양성 ‘맞손’
- 소프트뱅크, 65억 달러에 암페어 인수…“AI인프라 투자 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