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수출·진출기업 영향 제한적, 지속 피해현황 점검
중소벤처기업부가 16일 이스라엘-이란 간 분쟁으로 중동 정세가 급변함에 따라 중소기업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안을 논의하기 위해 ‘중동 분쟁 관련 중소기업 피해 대응 TF’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TF 회의는 중소기업의 수출입 거래 차질, 물류 지연 등 다양한 우려 상황을 고려해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창업진흥원, 중소기업중앙회, 중소벤처기업연구원 등 중소기업 주요 지원기관들과 합동으로 열렸으며 중소기업의 잠재적 피해 요소를 점검하고 분쟁 시나리오별 대응안을 논의했다.
중기부는 TF 회의에 참여한 각 기관에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긴밀한 정보 공유와 협업 체계를 유지하고 피해 중소기업 발생시 신속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해 줄 것을 당부했다.
중기부는 그간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간 무력 충돌 이후 지방중소벤처기업청 수출지원센터에 피해 접수센터를 설치하고 피해사례를 접수해 왔다. 현재까지 이번 사태로 인한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중기부는 향후 중소기업의 유가 급등에 따른 경영 애로, 해상 물류 차질 등 지속적인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는 한편 외교부·산업부 등 관계부처와도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이순배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이스라엘과 이란 분쟁으로 중동 지역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어 수출 중소기업의 경영악화를 대비한 신속한 피해 현황 파악과 지원 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확전, 분쟁 장기화 등 여러 가능성을 염두하고 현장에 있는 수출지원센터를 통해 중소기업의 피해를 지속 살펴보며 필요 시 관계부처와 지원방안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중기부 “아기유니콘 육성…5년 간 300개사 지원”
- 중기부, 佛 ‘비바텍 2025’ 현장에 K-스타트업 사절단 파견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계가 새 정부에 전하는 ‘말·말·말’
- 우리은행, 오픈API 플랫폼 ‘이음’ 개방…BaaS 사업 본격화 시동
- 반도체 최고액 수출에도 5월 수출 1%대 감소
- 중기부, ‘벤처투자조합 등록 및 관리규정’ 등 개정안 행정예고
- 美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국내 수출기업 “수출 4.9%·영업익 6.3% 감소”
- 중기부, 수출바우처 참여기업 추가 모집
- 기업은행, 中企 맞춤형 ‘IBK ESG정밀진단 시스템’ 출시
- 지난달 수출 3.7% 증가, 메모리가 견인한 반도체 수출 117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