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TV에 LLM 연동으로 대화 경험 근본적 개선
KT가 지니TV AI에이전트는 대규모언어모델(LLM)과 연동되는 지니TV AI에이전트를 자사 IPTV 서비스 ‘지니TV’에 탑재했다고 8일 밝혔다.
KT는 “단순한 음성 명령 인식에서 벗어나 진정한 의미의 ‘대화가 잘 통하는 AI’를 구현함으로써 차세대 미디어 서비스로의 본격적인 확장 기반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지니TV AI에이전트는 날씨, 뉴스 등 최신 생활 정보를 포함해 시사상식, 교양, 과학, 인물 등 복잡한 주제에 관한 질문도 가능하다. 또 콘텐츠 탐색 환경이 크게 개선돼 줄거리나 간단한 설명만으로도 맥락을 이해해 정보를 제공한다고 KT는 소개했다.
KT는 “지니TV AI에이전트는 기가지니를 통해 축적해 온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력에 LLM 최적화 역량을 더해 자연스러운 언어 이해와 응답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KT에 따르면, 단방향이나 일회성 음성 명령을 넘어 ‘멀티 턴(Multi-turn) 대화 구조’를 갖췄고 음성 인식률도 95% 이상 개선됐다. 실시간 검색 기능을 연동해 최신 정보 탐색 기능도 강화했다.
다양한 LLM 연동이 가능한 구조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의도 분류 엔진’을 적용한 점도 KT는 특징으로 꼽았다. 의도 분류 엔진은 사용자의 질문 의도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여러 LLM 중 가장 적합한 모델을 자동 호출한다.
현재 적용된 LLM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도입한 애저 오픈AI 서비스 기반으로 제공되며, 향후 다양한 LLM과도 확장 연동이 가능하다.
지니TV AI에이전트는 현재 ‘지니TV 셋톱박스 4’에 대응하며 올해 11월에는 ‘지니TV 올인원 사운드바’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약 500만대의 AI스피커 기반 셋톱박스 전 단말에 순차 적용된다.
연내 이미지, 오디오 등 멀티미디어 정보를 통합 인식하는 ‘멀티모달 모델(Multimodal Model)’도 도입할 예정이다.
KT 미디어부문장 김채희 전무는 “지니TV AI에이전트 탑재로 똑똑해진 지니TV를 통해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누구나 집에서 손쉽게 AI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넓혔다”며 “고객이 일상에서 AI를 더 쉽고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IT전문가 96%는 AI에이전트 위험성 인지…보안 정책은 ‘글쎄’
- 내·외부 연동으로 자동화…KT DS, AX 최적화 ‘AI 게이트웨이’ 출시
- 인텔 “한국은 주요 파트너, AI생태계 확장에 기여할 것”
- SKT ‘에이닷’, 생활 밀착형 서비스 2종 베타 버전 출시
- “한국어 추론에 최적화된 모델”…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씽크 공개
- KT, 인터넷 가입자 1천만명 돌파 기념 프로모션
- AI로 고객 불만 사전예방…LGU+, AI 기반 CRM 시스템 도입
- SKB, ‘AI스마트리모콘’ 기능 업데이트…TV 상황 인식 관련 정보 제공
- 방송광고 줄고 온라인광고 늘고…지난해 방송통신광고비 17조원 추산
- SKB, 여름 휴가철 맞이 신규·장기 고객 대상 프로모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