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국제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자 추진하는 배출권 거래 첫 사업을 캄보디아와 시작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캄보디아 정부가 지난 18일(현지시간) 한국기업이 추진한 국제탄소감축사업을 공식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한국 기업 베리워즈가 캄보디아에 전기오토바이와 충전소를 보급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이 감축 실적을 한국의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파리협정 제6.2조에 기반한 국제탄소감축 제도에 따라 승인된 한국의 첫 번째 사례다. 이번에 승인된 감축량은 총 68만톤이며 이 중 40만톤이 한국 정부에 이전돼 국가 NDC에 사용될 예정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측은 산업부를 중심으로 한국에너지공단과 코트라, 캄보디아 환경부, 국제기구인 GGGI가 워킹그룹을 구성해 방법론과 총 감축량, 분배비율 등을 공동으로 논의해 확정했다.
이번 승인 성과를 계기로 양국은 수송 분야를 중심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캄보디아 공공사업교통부, 광물에너지부 등 관계 부처와 양자 면담을 갖고 향후 정부 간 협력 기반을 모색했다.
22일에는 한-캄 국제탄소감축 포럼을 열고 캄보디아 정부 부처, 한국 진출 기업, 국제기구가 함께 양국의 탄소시장 전략과 민관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하고 향후 감축사업 발굴을 위한 협력 방향을 공유할 계획이다.
유법민 투자정책관은 “이번 사업은 한국의 국제탄소감축 제1호 승인사업이자 개별 프로젝트를 넘어 구조적 협력으로 확장되는 첫 사례”라며 “캄보디아의 탄소감축 정책 의지와 한국 기업의 기술력과 투자가 결합하면 양국이 윈-윈하는 정부 간 협력 모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산업부, 탄소감축 투자 기업에 1,521억원 융자 지원
- 한정애 국회 기후위기특위위원장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경영계 의견 경청”
- LGU+, CDP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수상
- 정부, 수소·CCU 글로벌 R&D 등 기후환경 신규과제에 233억원 투입
- 슈나이더, ESG 컨설팅 강화…“기업 탈탄소화 프로젝트에 기여할 것”
- “공시성숙도 고려한 ESRS 대응 전략 수립해야”
- “유상할당 비율 50% 상향 시 제조업 전기요금 연간 5조원 인상”
- 산업부, 탄소중립 전환 선도 프로젝트 융자지원 기업 모집
- 기계연 ‘탄소저감’ 기술, 美KBR에 기술이전
- 카카오, ‘액티브 그린 어드바이저 테이블’…RE100 실천 방안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