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수립·디지털화·탈탄소화 등 지속가능성 프레임워크 제공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지속가능성 컨설팅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기업의 ESG경영 목표 달성을 위한 지원을 확대한다고 전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의 지속가능성 컨설팅 프레임워크는 ▲전략 수립 ▲디지털화 ▲탈탄소화 등 3개 핵심 축을 중심으로 글로벌 ESG 공시 기준에 대응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경영 체계를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후위기라는 전인류가 대응해야 할 새로운 과제가 제기된 상황에서 각국 정부는 탄소중립 정책과 온실가스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투자자와 소비자 역시 ESG 요소를 기준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산업계에서도 에너지 효율 개선, 재생에너지 도입, 공급망 탈탄소 전략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전략 수립 단계에서 스코프1·2·3에 해당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과 함께 기업 맞춤형 감축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탄소중립 로드맵과 기후 리스크 평가 체계 마련을 지원하고 있다"며 "디지털화 단계에서는 ‘리소스어드바이저’와 ‘PME(Power Monitoring Expert)’ 솔루션을 활용해 ESG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화 전략의 일환으로 슈나이더일렉트릭은 산업 현장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고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DC 배전 솔루션’ 보급 확산에 나서고 있다.
이 DC 솔루션은 기존 AC 기반 설비 대비 최대 70%의 배전 손실 효과를 제공하며 하이브리드 AC/DC 방식의 미래형 공장·빌딩 설계 적용 시 최대 10%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해 ESG 목표 달성이 가능하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국내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재생에너지 조달과 전력구매계약(PPA) 기반 프로젝트도 전개 중이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에코프로비엠과 협력해 헝가리 사업장의 PPA 기반 재생에너지 조달 자문을 지원했으며, 2023년부터 2024년까지는 LG에너지솔루션(LG엔솔)의 폴란드 사업장에 대한 PPA 기반 재생에너지 조달 자문을 수행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코리아 지속가능성 사업부 김민영 부문장은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환은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 전략”이라며, “전략 수립부터 실행, 디지털 기반 ESG 관리까지 전 주기적인 컨설팅 역량을 바탕으로 고객의 넷제로 목표 달성을 돕고, 한국 산업계의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공시성숙도 고려한 ESRS 대응 전략 수립해야”
- “유상할당 비율 50% 상향 시 제조업 전기요금 연간 5조원 인상”
- 다쏘시스템, ‘지속가능성 포럼’서 ESG 전략·에너지 전환 방안 공유
- 카카오, 지역 상권 디지털전환·활성화 지원 확대
- 슈나이더,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서 DC 전력기기 제품군 선봬
- 슈나이더, ‘2025 바이오포럼 코리아’서 DX 가속화 인사이트 공유
- 하나금융, ‘ESG 공시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완료
- 국내 中企 ESG 성적 2배 향상…환경(E) 중심으로 대폭 개선
- 슈나이더, 2024년 지속가능성 목표 초과 달성…“ESG 글로벌 리더십 강화”
- 셰플러코리아, SK이노베이션 E&S와 태양광 PPA 계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