촉매방식 NCC 공정에 적용, 경제성 등 우수성 입증
정부출연 연구기관이 출연연 간 융합연구를 통해 개발한 고유의 탄소저감 기술이 북미 엔지니어링 회사에 기술이전됐다.
한국기계연구원은 글로벌 엔지니어링 회사 로그브라운앤드루트(Kellogg Brown & Root, KBR)와 CPOx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1일 밝혔다.
CPOx(Catalytic Partial Oxidation) 기술은 촉매 부분 산화 기술 촉매방식 NCC(Naptha Cracking Center) 공정의 촉매재생기 연료 다변화를 통한 이산화탄소(CO₂) 저감기술이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은 헨릭 라슨 KBR 부회장 등 핵심 임원진이 참석한 가운데 6월28일(현지시간) 미국 휴스턴 KBR 본사에서 기술이전 협약을 맺고 이전 기술 적용처 확대와 향후 협력 분야에 대해 논의했다.
기계연 자율제조연구소 반도체장비연구센터 이대훈 책임연구원과 조성권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처음 고안한 이 기술은 촉매방식 NCC 공정의 촉매 재생기에 연료유 대신 공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열원으로 공급해 CO₂ 배출을 줄이는 기술이다.
CO₂ 감축과 경제성 확보를 위해 촉매방식 NCC 공정에서 촉매 재생기에 필요한 열원을 연료유에서 메탄으로 대체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KBR의 촉매방식 NCC 공정(K-COT 공정)은 공정 부생가스인 메탄을 열원으로 공급할 때 고질적인 이상연소(After-burn) 문제가 발생해 메탄 사용이 불가능했다.
기계연이 개발한 CPOx 기술은 K-COT 공정에서 메탄을 촉매에 반응시켜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로 분해하고 촉매 재생기로 공급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이상연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탄소배출권도 확보해 올레핀(Olefin)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기계연 이대훈 책임연구원은 “연구의 시작 단계부터 현장의 수요에 기반한 목표 설정을 통해 문제 발굴과 솔루션 개발, 공정 적용성 확보를 추진하여 이룬 성과”라며 “CPOx 공정 기술을 시작으로 다양한 세계 최고의 공정 기술을 개발해 국가 기술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기계연 류석현 원장은 “탄소국경세 등 탄소 배출이 기업 경쟁력을 위협하는 가운데 KBR과 같은 세계적인 기업에 우리 연구원의 독자적인 기술로 탄소 배출 저감 관련 기술이전 성과를 이뤘다는 데 매우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CPOx 기술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에너지 및 화학 원료 확보를 위한 대형 융합 플랜트 기술’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관련기사
- [데스크칼럼] 정부發 ‘초격차’ 스타트업 군불 때기, 기대해도 되나
- 기계연, 선박용 암모니아 엔진 연소 기술 국내 최초 실증
- ETRI,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사회문제 해결 연구성과 수록
- 정부, 기업 정부납부 기술료 부담 완화…연구자 기술료 보상도 상향
- “외산SW 대비 95% 정확도”…기계연, 독자 개발 엔지니어링 툴 무상 배포
- 산업부, 도전·혁신형 R&D 사업·과제 수요조사…내달 15일까지
- “지능형 로봇산업 활성화…사회적 지능 R&D에 투자해야”
- “전세계 양자정보기술 시장, 2030년 155조원 이를 듯”
- 과기정통부, 내년 예산 18조6000억원 확정
- 과기정통부, “부처 협업 토대로 공공분야 AI 일상화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