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 심사에서 모니터링까지 자동화로 수기 중심 한계성 극복
토스페이먼츠가 PG 업계 최초로 통합 리스크 관리 시스템(Risk Management System, RMS)을 전면 도입하고 가맹점 심사 및 모니터링 업무 전반을 자동화 기반 체계로 전환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RMS 도입으로 토스페이먼츠는 수기 중심의 가맹점 심사 한계를 넘어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실시간으로 식별·분석·대응할 수 있는 자동 심사 환경을 구축했다.
가맹점의 상태 변화나 복합적인 위험 요인에 대해 일관된 기준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면서 심사 정확성과 효율성이 개선되고 심사 기간도 단축될 것으로 토스페이먼츠는 기대했다. PG 업계에서 RMS를 도입한 사례는 토스페이먼츠가 최초다.
토스페이먼츠 RMS는 사전 탐지부터 자동 판단, 사후 조치까지 모든 단계를 하나의 엔진에서 통합 처리하는 모듈형 시스템이다.
매출, 연체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를 종합 분석해 신규 가맹점의 신용과 유동성을 평가하고 산업군별 위험도를 자동으로 등급화하며 표준화된 정책 기준에 따라 신규 가맹점의 정산 주기와 담보 조건도 자동으로 설정한다.
RMS는 기존 가맹점에 대해서도 매출, 환불률, 민원율 등 주요 지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 발생 시 자동 알림을 보내 선제적 대응을 지원한다. 데이터는 자동 축적돼 심사·모니터링 정책을 지속 고도화하며 전문가 판단이 필요한 고위험 건은 별도 분류하고 심층 분석이 이뤄지도록 했다. 예외 상황(엣지 케이스)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구조다.
토스페이먼츠 관계자는 “RMS 도입을 통해 이상 거래 발생률을 사실상 0%에 가깝게 낮추는 것이 목표”라며 “데이터 기반의 빠르고 정밀한 리스크 대응 역량을 바탕으로 가맹점과 소비자 모두에게 더욱 안전한 결제 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21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에 ‘네카토’ 신청자 모집 경쟁
- KG이니시스, 쇼핑몰 자체 페이 지원 생체인증 출시
- KT, 토스페이 자동납부 도입…납부 방식 다양화로 편의성 개선
- 네이버페이 박상진 “글로벌 탑티어 핀테크 플랫폼으로 도약”
- 카카오페이·코나아이, 지역사랑상품권 활성화 협력
- 네이버페이, BC카드·UPI와 中 결제 서비스 고도화 협력 확대
- 토스모바일 ‘CU 요금제’, LGU+망으로 확대 출시
- 올해 금융산업 주요 키워드는 ‘망분리’·‘제4인터넷은행’·‘마이데이터’
- GLN인터내셔널, 외국인 의료 관광객 대상 디지털 금융상품 개발
- 하나카드, 당근페이 제휴 ‘당근머니 체크카드’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