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오·윈칠-옴니버스 통합, 개방형 표준·데이터 상호운용성 강화
PTC가 엔비디아와의 협업을 확대한다. 설계자동화툴(CAD) ‘크레오’와 제품수명주기관리(PLM) 솔루션 ‘윈칠’과 엔비디아 옴니버스 기술과 통합하는 것이 양사 간 이번 협업의 핵심이다.
PTC는 “양사 협력을 통해 고성능 인쇄회로기판(PCB), 첨단 냉각 시스템, 대규모 데이터센터 장비 등 인공지능(AI) 인프라의 핵심 하드웨어를 포함한 제품·솔루션의 설계·시뮬레이션 작업이 수월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PTC는 최근 개방형 3D 데이터 표준(OpenUSD)을 기반으로 하는 ‘OpenUSD 얼라이언스(AOUSD)’에 가입하고 AI 개발을 위한 개방성 표준과 데이터 상호운용성 지원도 확대했다.
이번 협업을 통해 윈칠은 옴니버스의 실시간 시뮬레이션 플랫폼과 연동돼 크레오에서 설계한 최신 데이터를 몰입형 3D 환경에서 시각화하고 실시간으로 협업할 수 있게 된다.
윈칠에는 옴니버스의 OpenUSD 및 RTX 라이브러리가 적용돼 사용자는 PLM 환경을 벗어나지 않고도 시뮬레이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설계 엔지니어는 복합 어셈블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실제 작동 환경을 시뮬레이션하며 부서 간 협업도 실시간 데이터 기반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PTC는 설명했다.
닐 바루아 PTC 사장 겸 CEO는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OpenUSD 얼라이언스 참여를 통해 설계 및 구성 데이터를 실시간 몰입형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확대했다”며 “크레오와 윈칠에 옴니버스 기술을 통합함으로써 제품 개발 속도와 품질 향상은 물론, 제품 수명주기 전반에 걸친 협업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레브 레바레디안 엔비디아 옴니버스·시뮬레이션 기술 부문 부사장은 “옴니버스 기술을 크레오와 윈칠에 통합함으로써 설계자와 제조기업이 콘셉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빠르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될 것”이라며 “PTC의 OpenUSD 및 개방형 표준에 대한 의지는 설계부터 제조까지 글로벌 AI인프라 산업 전반의 연결과 통합을 가속화할 것으로 본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클라우드, 日지자체와 DW 기반 방재 시스템 구축
- ETRI ‘음원 위치 지연 기술’, MPEG 국제표준 최종안 반영
- 후지쯔, 1만 큐비트급 초전도 양자컴퓨터 개발 공식 착수
- 이에이트, 세종 스마트시티 사업 관련 추가 수주
- 헥사곤·가천대, 3D 기반 설계·해석 전문인력 양성 ‘맞손’
- 이에이트, 오토데스크와 파트너십…디지털트윈 포트폴리오 라인업 확장
- 엔비디아, 유럽 제조업을 위한 산업용 AI 클라우드 구축
- 앤시스, RTL 플랫폼 사업부 ‘파워아티스트’ 키사이트에 매각
- PTC, ‘크레오9’ 출시…모형 분석·비전 필드 분석 기능 업데이트
- PTC, SaaS 플랫폼 ‘아틀라스’에 뷰포리아·크레오 신기능 2종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