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초격차 스타트업 리노베이션 데이’ 성료
2023년부터 정부가 추진한 ‘초격차 스타트업’ 지원을 통해 스타트업 2개사가 유니콘으로 성장하고 51개 기업이 예비 유니콘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리노베이션 데이 행사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13일 서울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열린 이날 행사는 신규 초격차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그간의 정책 성과와 글로벌 스케일업 지원 정책 등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5년간 인공지능(AI), 시스템반도체 등 10대 신산업 분야에서 국가 경제의 미래를 이끌어갈 우수 딥테크 스타트업 1천개 이상을 선정하고 집중 지원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으로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일반 공모와 민간검증, 부처추천 등 다양한 방식을 통해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모집해 13.7:1의 경쟁률을 뚫고 최종 182개사가 선정됐다.
이들 스타트업은 3년간 최대 6억원의 사업화 자금과 기업 수요에 따라 별도 평가를 거쳐 최대 6억원의 R&D 자금 등 총 11억원의 자금을 지원 받고 정책자금·보증·수출 등을 연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서울대학교 시스템반도체 산업진흥센터,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등 분야별 전문기관을 통해 연구 장비 등 인프라를 활용한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 대기업 등과 협업,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을 지원받게 된다.
중기부에 따르면, 2023년부터 추진한 초격차 프로젝트를 통해 총 407개의 초격차 스타트업 중에서 2개의 딥테크 유니콘이 탄생했고 기업가치 1천억원 이상의 예비유니콘 51개사를 창출했다.
2023~2024년 사이 선정된 407개의 초격차 스타트업에 대한 성과 조사 결과 지원 전보다 매출액은 4.4%, 고용 18.5%, 누적 투자유치는 43.2%가 상승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투자유치 및 스케일업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7개 스타트업이 32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고 9개사가 코스닥에 상장했다.
중기부는 글로벌 스케일업 지원을 위해 초격차 분야 중 협업 수요가 높고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바이오·로봇 등 4개 분야에서 분야별 대기업 등 대표 기관과 초격차 스타트업 간 협업을 통해 판로,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등을 지원하는 ‘초격차 링크업’ 프로그램을 신설해 추진한다.
아울러 투자유치를 가속화하기 위해 주요 딥테크 분야 펀드 등을 보유한 벤처투자사(VC), 기업형 벤처투자사(CVC) 등으로 구성된 협의체인 ‘초격차 VC 멤버십’을 신설하고, 기업공개(IPO) 주관사인 대형 증권사, 중소·벤처기업 전문 증권사로 구성된 협의체를 통해 초격차 스타트업의 IPO를 중점 지원할 방침이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중기부는 앞으로도 딥테크 스타트업이 초격차 프로젝트를 발판삼아 글로벌 유니콘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네이버 D2SF 출범 10년…양상환 센터장 “성장 돕는 교두보 될 것”
- 유망 스타트업과 전략적 협업 확대…LG엔솔, ‘OSS 프로그램’ 오픈
- 우리금융, 항공우주 산업 육성에 2조원 규모 금융 지원
- [데스크칼럼] “차기 정부를 향한 스타트업계의 제안에 귀 기울일 때”
- 기후테크 혁신 스타트업 키운다…중기부, ‘레벨업 전략’ 발표
- AI와 인간의 협업시대 ‘개막’…MS “기술과 직원의 역할 경계 재정의”
- [데스크칼럼] 스타트업 투자 시점…‘지금이 적기’ vs ‘그래도 아직은’
- 혁신 R&D 지원…중기부,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 신규과제 발표
- 첨단 GPU 1만장 연내 도입…정부 ‘국가 대표 AI 모델’ 개발 팀 육성
- 중기부, 美 VC와 2억 달러 규모 글로벌펀드 결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