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프로페셔널’ 등 상업용 세탁가전 라인업 선봬
LG전자가 B2B 사업 영역이자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상업용 세탁가전 사업 확대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23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올란도에서 열리는 북미 최대 세탁·섬유관리 산업 전시회 ‘클린쇼(The Clean Show) 2025’에 부스를 내고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며 영향력 확장에 나선다고 24일 밝혔다.
클린쇼는 전세계 9천여 업계 관계자가 참가하는 대표적인 글로벌 B2B 세탁·섬유관리 산업 전시회다.
LG전자는 2008년 미국에서 소용량 제품을 출시하며 글로벌 상업용 세탁가전 사업을 본격화한 후 미국 ‘클린쇼’, 독일 ‘텍스케어’ 등 세계 각국 주요 전시회에 참가해 왔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카이퀘스트에 따르면, 글로벌 상업용 세탁 시장은 2032년까지 약 108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은 아파트 같은 다세대 주거 시설에서 집집마다 세탁실을 설치하는 대신 공용 세탁 공간이나 빨래방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LG전자는 올해 약 231m² 규모 전시 공간을 마련하고 대용량 상업용 세탁가전 ‘LG 프로페셔널’부터 소용량 드럼 세탁·건조기, 통돌이 세탁기까지 LG전자의 상업용 세탁가전 제품 라인업을 전시한다.
LG 프로페셔널은 세탁기와 건조기, 복합형 세탁건조기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다. 세탁물을 분석해 최적의 세탁 및 건조 코스를 설정하는 AI기술이 적용됐고 건조기는 저온 제습 방식의 인버터 히트펌프를 탑재해 히터 방식보다 에너지 효율성을 높였다고 LG전자는 설명했다.
B2B 고객들의 다양한 사업 환경을 고려해 ▲상업용 세탁가전 전용 앱 ‘런드리크루’ ▲API 활용 사례 등 통합관리 솔루션도 선보인다.
상업용 세탁가전 전용 앱 ‘런드리크루’는 기기 원격 제어 외에도 오류 알림, 스마트 진단 등 다양한 기능으로 에너지 효율성 및 관리 편의성을 높여주는 서비스다. 최근 글로벌 진출 확장을 위해 다국적 결제 모듈을 업데이트했고 UI/UX도 편리하게 개선해 편의성을 높였다.
런드리크루 사용이 어려운 B2B 고객들을 위한 API 활용 사례도 다양하게 소개한다. LG전자는 자체 API를 활용해 B2B 고객들이 각자 상황에 맞는 독자적인 관리 솔루션을 개발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LG전자는 올해 한국 시장에서 먼저 선보인 LG 프로페셔널을 연내 북미·유럽 시장으로 확대하며 상업용 세탁가전 사업 성장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LG전자 HS사업본부장 류재철 사장은 “뚜렷한 성장성을 갖춘 상업용 세탁 시장은 가전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요한 B2B 시장”이라며 “AI와 고효율로 차별화된 프리미엄 상업용 세탁가전 라인업을 앞세워 미국 B2B 생활가전 시장에서 성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82종 유해물질 걸러낸다…삼성, ‘비스포크AI 정수기 카운터탑’ 출시
- 폭스콘, 인공지능(AI) 훈풍 타고 영업익 27% 늘었다
- LG전자, 싱가포르에 첫 구독 전용 브랜드샵 오픈…글로벌 사업 확대
- 태블릿PC 시장은 조용히 성장 중…출하량 6개 분기 연속 증가
- 삼성 2분기 실적발표, 영업익 4조6761억원 전년동기비 55% 감소
- LG전자, 자원 순환 캠페인 ‘배터리턴’ 폐배터리 수거 100톤 돌파
- LG전자, 2분기 영업익 6,391억원…전년동기비 46.6% 감소
- 코오롱베니트, 독자 개발 IoT 플랫폼 기반 스마트홈 사업 확대
- LG전자, ‘씽큐 AI’ 플랫폼 내달 유럽서 본격 론칭
- 삼성, ‘WCE 2025’ 출전…기후위기 대응 AI 에너지 기술 선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