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사용 패턴 기반 공간별 에너지 사용 절감·예측 기술 소개
삼성전자가 27일부터 29일까지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기후산업국제박람회(WCE) 2025’에 참여해 미래 기후를 위한 다양한 에너지 기술을 선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은행(WB)이 공동 주최하는 이 전시회에서 삼성전자는 ▲AI 절약모드 ▲통합 모니터링·관리 ▲개인화 ▲빌딩 에너지 관리 솔루션 등을 AI기술을 통한 에너지 절약을 주제로 전시를 진행한다.
전시공간 입구 중앙에 대형 LED 파사드를 설치하고 기후 변화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영상을 상영해 방문객들에게 기후 변화와 에너지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LED 파사드와 연결된 ‘에너지 세이빙’ 존에서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건조기, TV 등 주요 제품의 현재 에너지 사용량과 월간 예측 사용량을 함께 놓인 스크린으로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싱스의 AI 절약모드를 활용해 최대 60%까지 쉽고 편리하게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도 체험할 수 있다.
거실 공간으로 구현된 ‘AI 절약모드’ 존에서는 비스포크AI 무풍 콤보 시스템에어컨, 네오QLED TV, 비스포크AI 에어드레서 등을 일일이 연결하는 불편함 없이 한 번에 연동해 AI 절약모드를 활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방 공간으로 꾸며진 ‘통합 모니터링’ 존에서는 집 안팎 언제 어디서든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뿐 아니라 냉장고, 세탁건조기, 무빙스타일 등 스크린이 탑재된 모든 제품에서도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빌딩 에너지 관리 솔루션인 ‘b.IoT’ 존에서는 빌딩 공조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고 자동화를 통한 관리로 최대 15%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과정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그간 미래 기후를 위한 다양한 에너지 절감 혁신을 선보여 왔다”며 “앞으로도 AI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해 에너지 절감은 물론 소비자들의 편의와 혜택을 위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삼성 ‘비스포크AI’ 가전, TUV노르트 IoT 보안 인증 획득
- [데스크칼럼] 테슬라와 맞손 잡은 삼성…장밋빛 전망 속 리스크
- LG전자, 美 ‘클린쇼 2025’ 출전…상업용 세탁가전 사업 확대
- 카운터포인트 “서울, 전세계 AI도시 2위…1위는 싱가포르”
- 40cm 앞에서 100인치 4K 화질…LG전자, ‘시네빔 쇼츠’ 출시
- [포토] 현대미술이 OLED 화질로 재탄생
- 전기·수도·가스 통합 원격검침으로 편리하게…실증 서비스 시작
- LG NOVA, 美 클린테크 스타트업 ‘파도’ 독립법인으로 스핀아웃
- 슈나이더, 내달 ‘국제 전기전력 전시회’서 친환경 에너지 전략 공유
- LG전자, 창원에 차세대 HVAC 연구센터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