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C 보고서, 불확실성·수익하락 우려로 투자업계 위축

[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국내 ICT 분야 스타트업이 미국 관세 정책 사정권에서 비용 감축과 공급망 다변화, 적극적 투자 유치 등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산하 KIC(Korea Innovation Center) 실리콘밸리가 미국 관세 정책 변화에 따른 국내 ICT 스타트업 상황을 분석한 내용을 담은 보고서에 따르면, ICT 스타트업 중 미국에 전자제품, IoT 기기 등 하드웨어(HW)를 수출하는 곳은 한국에 부과된 관세 15% 이상을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들 기업이 중국 등 우리나라보다 관세가 높게 책정될 가능성이 있는 국가 부품을 사용할 경우 더 높은 관세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높은 관세는 스타트업의 미국 시장 진출과 확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미국 시장 외 동남아, 인도 등 신흥 시장 진출을 모색할 것”을 제언했다.

또 중국 중심의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대체 공급처를 확보하는 한편, 내부 생산 역량 강화와 비용 절감책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관세 부과로 인한 상품 경쟁력 저하나 공급망 재편에 따른 비용 증가 외에 투자가 얼어붙을 수 있는 점도 우려했다.

특히 무역 불확실성과 수익성 하락 우려로 인해 벤처캐피털(VC) 및 투자자의 ICT 스타트업들에 대한 투자가 저조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미국 내 제조 시설 확대를 추진하는 대기업과 달리 스타트업은 자원과 자본 부족으로 현지화 정책 수립이 어려운 상황도 경쟁력 저하 요인으로 꼽혔다.

보고서는 “ICT 스타트업이 기술과 서비스 차별화를 통해 시장 내 우위를 확보하는 한편 공급망 재편과 시장 다변화, 투자 유치 등에서 유연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