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일 협의 내용 등을 감안해 향후 우리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국익에 가장 부합하는 방향으로 미국 측과 밀도 있는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8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에서 열린 ‘제50차 통상추진위원회 회의’에서 최근 미국 정부의 대일 상호·품목 관세 인하 조치 동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여 본부장이 주재한 이날 회의에는 기재부, 외교부, 농식품부, 식약처, 국토부, 특허청, 과기정통부 등 정부 부처 국장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달 4일(현지시간) 미국과 일본의 무역 합의를 공식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여기에는 일본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부과해온 25%의 품목별 관세를 15%로 낮추는 내용이 포함됐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관세 협상을 타결하면서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하기로 했으나 현재 미국 정부의 구체적 조치 계획이 나오지는 않은 상태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미국의 대일 관세 인하 발효 때 우리 기업이 겪을 어려움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 기업이 불리한 경쟁 환경이 놓이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 후속 협의 과정에 임하자는 데 인식을 함께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된 후속 협의에 대해 관계 부처와 긴밀한 원팀 체제를 바탕으로 미국 측과 협의를 지속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中 제외 글로벌 EV 시장서 국내 배터리3사 점유율 7.1% 하락
- 정부, 美 관세 피해 기업 대상 13조6000억원 긴급 지원
- 반도체·자동차·선박이 견인…8월 수출 1.3% 늘었다
- 한화그룹, 美 필리조선소에 50억 달러 추가 투자
- 국내 기업 1,500억 달러 대미 투자 공식화…“조선·에너지 협력 기회”
- [그것을 알려주마] 트럼프 2기 출범 7개월…노골화된 ‘페이미 캐피탈리즘’
- 국내 중견기업 53% “상호관세 대응, 정부의 금융·세제 지원 필요”
- 산업부, 1차 외국인투자 전문가 포럼…FDI 정책전환 모색
- 보호무역주의 등 급변한 통상환경…“민·관 협력, 전략적 대응 나설 때”
- 기업가치 19조원 인정받은 미스트랄AI…ASML ‘최대주주’ 등극
최태우 기자
taewoo@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