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가 그간 그룹이 산업·파트너 생태계 전반에 기여해 온 성과를 담은 ‘카카오그룹 비즈니스 임팩트 리포트 2025’를 발간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카카오그룹의 다양한 서비스가 만들어낸 사업적 효과와 이를 활용한 파트너들의 우수사례를 공유해 더 많은 파트너들이 비즈니스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제작됐다.
카카오를 포함해 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뱅크 등 8개사의 38개 서비스가 창출한 69개 비즈니스 효과를 담았다.
카카오는 ▲서비스 활용 방식에 따라 분류한 3개 파트너 영역 ▲각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열사 및 플랫폼 특성에 따라 분류한 5개 사업 영역 ▲서비스를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3개 비즈니스 활동 영역과 6개 기대 효과 등으로 프레임워크를 나눠서 분석했다.
보고서에는 카카오톡 채널, 알림톡, 상담톡, 브랜드 이모티콘 등 카카오톡을 비즈니스로 활용한 사례가 주요하게 소개됐다.
카카오에 따르면, 카카오톡 채널을 이용하는 파트너들의 친구 수는 총 19억5000만명에 달한다. 10만명 이상 친구를 보유한 파트너도 2천곳 이상으로 톡채널 쿠폰 발송으로 구매 전환율 40%를 달성하거나 메시지 발송 당일 매출이 2.4배 증가한 사례도 포함됐다.
소상공인과 중소형 기업을 위한 서비스도 주요하게 포함됐다. ‘우리 매장 알리기’는 오프라인 매장을 카카오톡과 카카오맵을 통해 손쉽게 홍보할 수 있는 광고 상품으로 최소 100원부터 광고 집행이 가능하고 1만원 사용 시 최대 2만회 노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카카오페이는 외국인 관광객이 자국의 간편결제 서비스로 국내 카카오페이 가맹점에서 쉽게 결제할 수 있는 ‘인바운드 오프라인 해외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비즈니스용 서비스 관련 내용도 보고서에 수록됐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카카오T퀵·배송’은 ‘AI 주소 자동 붙여넣기’ 기능으로 퀵 접수 시간을 24% 단축했고 디케이테크인의 고객 상담 솔루션 ‘챗봇나우’는 출시 2년 만에 누적 이용자 수 300만명을 돌파했다.
카카오는 보고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별도의 자문단도 운영했다. 가천대 전성민 경영학부 교수, 경희대 김소연 국제학과 교수, 단국대 정연승 경영학부 교수, 포항공대 장봉규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한양대 안희경 경영학부 교수 등 학계 전문가들이 자문과 감수를 맡았다.
보고서는 카카오 기업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누구나 편리하게 보고서 내용을 접할 수 있도록 카카오의 음성 AI 모델을 활용해 제작한 음성 설명 파일도 함께 제공한다.
카카오 김대원 정책 리더는 “이번 보고서는 소상공인과 비즈니스 파트너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건강한 디지털 생태계 구축에 대한 카카오의 노력을 보여준다”며 “디지털전환 뿐만 AI전환(AX) 시대에도 파트너들의 성공을 돕는 동반자로서 역할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카카오, ‘기업과 인권 국제포럼’서 AI 윤리·리스크관리 사례 공유
- 딥브레인AI, 이미지 생성AI 기능 3종 업데이트
- 스스로 문제 인식·해결하는 AI에이전트, 연평균 44.8% 성장세 전망
- 빅테크 규제는 美-EU 또 다른 갈등 요소…트럼프, 대응조치 시사
- AI서비스 신뢰·안전성 강화…SKT, ‘AI 거버넌스 포털’ 공식 오픈
- ‘AI 고속도로’ 구축에 정부·기업 힘 보탠다…“GPU 확보에 총력”
- 에이전틱AI 생태계 확장…카카오, MCP 실험 공간 ‘PlayMCP’ 베타 오픈
- 카카오 2분기 실적발표, 매출·영업익 분기 최대 ‘어닝 서프라이즈’
- 카운터포인트 “서울, 전세계 AI도시 2위…1위는 싱가포르”
- 카카오, ‘카카오비즈니스 사장님 커뮤니티’ 3기 모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