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VPN,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PT) 조사 결과 발표
국가별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PT) 조사 결과에서 한국인의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이 100점 만점에 50점으로 지난해와 동일한 세계 11위를 기록했다.
노드VPN이 진행한 이번 국가별 개인정보보호 인식 테스트(NPT)는 전세계 186개국 3만792명이 참여해 22개 문항에 답변한 공개 설문조사로 개인의 사이버보안 및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인식을 평가하고 보안 위협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은 비밀번호 관리와 소셜미디어 개인정보 보호 분야에서 비교적 강점을 보였다. 응답자의 94%는 강력한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었고 87%는 소셜미디어에서 공유해서는 안 되는 민감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하고 있었다.
다만 ▲업무용 AI 활용(8%) ▲메타데이터 이해(6%) ▲가정용 와이파이 보안(9%)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19%) 등에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기본적인 보안 수칙에는 익숙하지만, AI 확산과 같은 새로운 기술 환경에는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사이버보안 지식 수준을 세 단계로 분류했을 때 한국인의 절반 이상(52%)은 기본 수준에 머물렀으며 최고 수준에 해당하는 사용자는 6%에 불과해 글로벌 평균인 10%보다 낮았다. 이는 한국인의 상당수가 기본 보안 수칙은 숙지하고 있지만 정교한 위협을 완전히 차단할 수준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일부 지표는 개선됐지만 여전히 취약한 영역이 존재한다. AI 기반 사기 인식은 49%에서 55%로 상승했고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도구에 대한 인식도 12%에서 13%로 향상됐다.
반면 집 와이파이 보안 이해도는 12%에서 9%로 떨어졌으며 신용카드 정보 저장 위험 인식도 82%에서 78%로 감소했다. 가짜 URL과 피싱 사이트 식별 능력은 지난해와 동일하게 각각 36%, 19%에 머물렀다.
노드VPN은 “조사 결과 일부 보안 의식은 향상되었음을 보여주지만 AI 활용과 관련된 보안 인식이 여전히 낮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업과 개인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I를 빠르게 도입하고 있지만 해커에게 새로운 공격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노드VPN은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사이버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각 계정의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관리하고, 의심스러운 링크나 알 수 없는 연결 요청을 주의하는 등 기본 보안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리유스 브리에디스 노드VPN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온라인 환경에서 AI의 활용이 확대되면서 위험이 증가했지만 안전한 온라인 환경을 위해 기본적인 보안 원칙을 지키는 것이 여전히 핵심”이라며, “작은 실수를 이용해 해커들이 침투할 수 있어 기본 보안 수칙을 지키는 것이 개인정보와 계정을 보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스패로우, SK쉴더스와 SW 공급망 보안 강화 ‘맞손’
- KT도 유심정보 털렸다…김영섭 대표 “큰 불안·심려 끼쳐 죄송”
- 배경훈 장관, KT 무단 소액결제 사태 관련 현장 점검
- “보이스피싱 탐지 정확도 높인다”…LGU+ ‘익시오’ 고도화
- KT 소액결제 피해 사고…시민단체 “이용자 대상 전수조사 필요”
- 보이스피싱 피해액 금융사가 배상…‘무과실 배상책임’ 법제화 추진
- 올해 상반기 사이버위협 15% 증가…ICT 분야 29% 급증
- “AI시스템 자체가 표적”…AI로 자동화한 사이버공격 확대 ‘주의보’
- “AI 인식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구축해야”
- 플레인비트, ‘한-아시아 법과학·법의학 총회’서 디지털 포렌식 사례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