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가 오픈AI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오픈AI의 차세대 AI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소 10GW 규모의 엔비디아 시스템을 도입한다는 의향서(letter of intent)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협력으로 오픈AI는 차세대 모델을 훈련·운영하며 슈퍼인텔리전스 배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된다.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와 전력 용량 확보를 포함한 이번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시스템이 도입됨에 따라 오픈AI에 최대 1천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으로, 우선 엔비디아 베라 루빈(Vera Rubin) 플랫폼을 통해 2026년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오픈AI는 AI팩토리 성장 계획을 위해 전략적 컴퓨팅, 네트워킹 파트너로서 엔비디아와 협력할 예정이다. 양사는 오픈AI의 모델과 인프라 소프트웨어(SW), 엔비디아의 하드웨어/소프트웨어(HW/SW)에 대한 로드맵을 공동 최적화할 계획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엔비디아와 오픈AI는 지난 10년간 최초의 DGX 슈퍼컴퓨터부터 챗GPT의 혁신에 이르기까지 서로를 함께 견인해왔다. 이번 투자와 인프라 파트너십은 차세대 인텔리전스 시대를 이끌 10GW 규모의 인프라 구축이라는 다음 도약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공동 창립자 겸 CEO는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 컴퓨팅 인프라가 미래 경제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우리는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 중인 인프라를 활용해 새로운 AI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사람과 기업이 대규모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픈AI는 현재 주간 활성 사용자 수가 7억명을 넘어섰으며 글로벌 기업과 중소기업, 개발자 전반에서 강력한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이 오픈AI가 인류 전체에 이익이 되는 범용인공지능(AGI)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엔비디아와 오픈AI는 향후 몇 주 안에 이번 전략적 파트너십의 새로운 단계에 대한 세부 사항을 확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 슈나이더·엔비디아, AI데이터센터 레퍼런스 디자인 2종 공개
- HS효성인포, ‘데이터센터 현대화 컨퍼런스’…AX·인프라 혁신 전략 공유
- 알고리즘 최적화가 AI 핵심 키…“소버린AI, 보호 아닌 경쟁력 강화해야”
- LG전자·SK이노, AI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수주 확대 ‘맞손’
- 삼성SDS “AI풀스택 역량으로 고객사 AX 견인”
- 오픈AI, 오라클과 3천억 달러 규모 클라우드 계약
- 네이버클라우드, SK하이닉스와 맞손…AI서비스 성능·효율성 개선 협력
- AI칩 자체 개발 ‘알리바바 쇼크’…中 반도체 굴기에 美 증권가 ‘술렁’
- “인프라 확충·글로벌 거버넌스 참여 등 국가 차원 AI 전략 주도해야”
- HPE주니퍼 “미스트 에이전틱AI 혁신, 셀프 드라이빙 네트워크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