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은행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농협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사고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부터 2025년 7월까지 총 38건의 금융사고가 발생하며 사고금액이 800억6000만원을 넘는다고 밝혔다.

특히 최근 2년간 금융사고가 급증하고 있어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 2023년 6건에 3억9400만원에 불과했던 금융사고는 2024년에는 19건에 453억7500만원으로 급증했으며, 2025년에는 7월까지만 해도 8건에 275억4200만원이 발생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횡령이 14건으로 가장 많았고 사적금전대차 7건, 사기 7건, 배임 4건이 뒤를 이었다. 사고금액 기준으로는 사기에 의한 피해가 430억2800만원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했으며, 횡령과 업무상배임이 368억9500만원으로 46%를 기록했다.

지난 2024년과 2025년에는 100억원 이상의 금융사고가 4건 발생했다. 2024년 A시지부에서 허위매매계약서에 의한 109억4700만원 부당여신, B지점에서 허위 담보물 등록을 통한 121억500만원 부당대출, C금융센터에서 외부인 사기로 인한 140억원 부실채권 등이 발생했다. 2025년에는 D지점에서 이중매매계약서에 의해 257억 4700만원 사기대출이 일어났다.

특히 농협은행의 금융사고 피해금 회수율은 갈수록 저조해지고 있다. 전체 사고금액 800억원 중 회수한 금액은 125억1800만원으로 16%에 불과했다. 2023년에는 52%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2024년 약 12%, 2025년에는 2.4%로 급감했다.

이같은 금융사고로 인해 같은 기간 18명이 징계해직됐으며 8명이 정직, 2명이 감봉 처분을 받았다. 현재 3건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에서 검사를 진행 중이며 검사 후 문책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윤준병 의원은 "2024년 국정감사에서 농협은행 금융사고 심각성을 지적했고,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전산시스템 강화와 인력 보강을 통해 철저히 감사하겠다고 했으나 금융사고는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임대차계약서 확인 소홀이나 허위 매매계약서에 따른 여신 취급은 여신업무 태만에서 비롯된 것이며 횡령·배임이나 고객과의 사적금전대차는 도덕적 해이로 인한 금융사고"라고 지적하며 "사고 유형별로 매뉴얼을 상세하게 만들어 적용하고, 금융 윤리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금융사고의 특성상 일단 사고가 발생하면 회수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금융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상이지만, 숨겨놓은 재산을 끝까지 찾아내려는 노력과 함께 작은 금융사고라도 엄격하게 징계하고 사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금융사고를 줄일 수 있는 입법정책적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