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7월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11차 인공지능(AI)·제조데이터 전략위원회(이하 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지난달 23일 정부가 발표한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의 구체적인 실행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전략의 핵심기반이 되는 인공지능(AI) 중소벤처 제조플랫폼(KAMP)는 제조공정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활용하고 AI솔루션 개발을 지원하는 데이터 인프라와 AI전문가, 대학, 연구기관의 네트워크를 통합한 것으로 중소기업의 AI 활용을 지원하는 플랫폼 역할을 담당한다.
중기부는 올해 KAMP 구축 첫 단계로 민간 클라우드 사업자를 선정하고 뿌리산업 분야의 중소기업들이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 수치제어(CNC) 머신, 프레스 등 핵심설비의 데이터셋 구축과 AI 솔루션 도입을 위한 전문가 컨설팅 및 실증을 지원할 계획이다.
포스프레임(PosFrame, 포스코ICT), 넥스플랜트(Nexplant, 삼성SDS), 프리딕스(Predix, GE), 마인드스피어(Mindsphere, 지멘스) 등 국내외 제조 플랫폼의 활용영역과 데이터 수집-저장-활용법, 특징에 대해 포스코ICT측에서 발표하고 중기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KAMP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토론에서 전략위원들은 중기부에서 구축하는 인프라를 통해 다양한 제조 플랫폼이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중소벤처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국내 제조현장에 적합한 기능을 발굴-서비스해야 한다는 점에 합의했다.
또 중소벤처기업이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플랫폼 개발사와 지속적인 기술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3일 제11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 겸 제1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에서 한국판 뉴딜의 첫 번째 후속 조치로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중소기업 제조혁신 고도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기존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업그레이드하는 스마트제조2.0을 추진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중기부 조주현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 단장은 “KAMP 구축을 통해 중소기업의 AI 활용을 본격화하고 제조데이터 제공자의 수익모델을 창출하는 마이제조데이터 시대를 열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피터 허웍 슈나이더 부사장, “자산의 디지털화, 선택 아닌 필수”
- 제조업 디지털화 ‘중소벤처 제조플랫폼(KAMP)’로 푼다…5년 내 스마트공장 1천개 구축
- ETRI, 스마트공장 설비 제어 5G IIoT 기술 시연
- 포스코ICT·에프앤가이드, 금융사 대상 RPA 솔루션 사업 ‘맞손’
- 지멘스, 코로나19 확진자 동선감지 앱 ‘인라이티드 세이프’ 론칭
- 포스코ICT·안랩, 스마트팩토리 보안 솔루션 사업 ‘맞손’
- 슈나이더, 아스코 무정전 ALTS 신제품 ‘ASCO 7000’ 출시
- 문 대통령, “스마트시티는 국가의 미래, 지역 균형 뉴딜전략 추진할 것”
- 삼성SDS, 무디스 국제신용등급 평가 A1 등급 획득
- 다쏘시스템, 3D 설계·엔지니어링 솔루션 ‘솔리드웍스’ 버전 업데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