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 딥페이크 생성물 패턴 식별
딥페이크 통합 대응 시스템 개발
누리랩은 딥페이크 탐지 기술에 대한 국내 특허를 등록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과 메타데이터 분석 기술을 결합해 정교하게 딥페이크 영상을 탐지하는 기술로, ‘딥페이크 생성물 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와 관련한 특허로 등록됐다.
사람의 이미지·영상·음성 등을 조작한 딥페이크는 AI 발전으로 일반인들도 손쉽게 생성 가능하게 됐으며 이를 악용한 사생활 침해, 명해 훼손, 가짜 뉴스 유포, 금융 사기 등이 성행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딥페이크 탐지 기술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누리랩은 기존 딥페이크 탐지 기술은 AI 알고리즘만을 활용해 탐지에 한계가 존재하는 반면 이 기술은 AI 알고리즘과 메타데이터 분석을 결합해 탐지 정확도를 높인 점이 특징이라고 소개했다.
이미지나 영상의 픽셀 분석에 주로 의존하는 기존 AI 기반 탐지 기술과 달리 누리랩은 딥페이크 생성·수정 기록, 저장 포맷, 압축 정보 등 메타데이터 분석 기술을 더함으로써 딥페이크 생성물의 비정상적인 패턴에 대한 식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최원혁 누리랩 대표는 “딥페이크 생성물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면 기존의 AI 알고리즘 기술만 사용하는 것보다 탐지 정밀도가 획기적으로 높아진다”며 “향후 딥페이크 생성물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알림 및 삭제 지원이 가능한 원스톱 통합 대응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 사이버 보안 분야의 난제 중 하나인 딥페이크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글로벌 CEO 10명 중 7명…“향후 3년 성장 열쇠는 AI”
- 사이버아크, 지능형 검색·컨텍스트 기능 업데이트
- 보이스피싱 피해액 금융사가 배상…‘무과실 배상책임’ 법제화 추진
- AI 확산, 보안 허점 키운다…IBM “거버넌스 미비는 공격 대상” 경고
- “급속한 AI 도입·확산…복잡성 늘고 보안사고 위험 키운다”
- “AI 인식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 구축해야”
- KT, 정보보호 분야에 1조원 이상 투자…“고객 신뢰 최우선”
- 지난해 ‘성 착취물’ 등 불법 촬영물 18만건 삭제·차단
- 가트너 “생성AI 기반 코드 아키텍처, 기존 UI 대체할 것”
- “악용되는 AI에이전트, 사이버공격 위험 높일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