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화 보험상품 개발 협력, 로봇 특화 금융 서비스 모델 정립
현대자동차·기아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로보틱스 서비스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금융 연계 모델 개발에 나선다.
현대차·기아는 현대해상과 로보틱스 기반 보험·금융 서비스 고도화를 위한 상호 간 협력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전날(24일) 서울시 종로구 현대해상 본사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와 현대해상 기업보험부문장 윤의영 전무가 참석했다.
양사 간 이번 협력은 로보틱스 기술 기반의 서비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보험·금융 서비스와 연계해 로봇의 안전한 운영 체계를 고도화하고 로보틱스 산업의 사회적가치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협약을 통해 양사는 ▲로봇 특화 보험상품 개발 ▲로봇 운영 리스크 관리체계 구축 ▲보험·금융 융합 및 신규 시장 공동 진출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우선 현대차·기아와 현대해상은 로봇 특화 보험을 공동 개발하고 연내 출시 예정인 1호 보험상품(딥테크종합보험)에 대한 계약을 체결한다.
1호 보험상품 개발을 위해 양측은 현대차·기아가 호텔·병원·공항 등 다양한 장소에서 운영 중인 배송 로봇과 전기차(EV) 충전 로봇의 실증사업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험 리스크를 분석하는 등 협력을 추진해 왔다.
현대차·기아는 향후 자체 개발한 로봇의 운영·판매 시 보험상품 연계를 통해 신뢰성과 안전성을 보장할 계획이다. 사이버위협, 개인정보 및 네트워크 보안 등의 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나 보상 등에 대해 보험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로보틱스 기술과 보험 산업의 융합을 통해 로봇의 안전한 운영 및 위험 저감 체계도 공동으로 구축하기로 했다. 양사는 신개념 로봇 서비스 모델에 특화해 로봇 사용자의 총소유비용(TCO) 절감을 위한 보험·금융 연계형 신상품 개발도 추진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 현동진 상무는 “로봇산업에 특화된 보험 및 데이터 기반 금융 서비스 모델을 정립해 로봇 기술의 상용화에 앞장서고 투자 안정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대해상 기업보험부문장 윤의영 전무는 “안전하고 인간 친화적인 로봇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기여하고 다양한 방면에서 혁신의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네이버랩스 유럽, 제4회 ‘AI for Robotics’ 워크샵서 연구성과 공유
- 메타파머스, 로봇산업진흥원 지원 ‘오이 로봇 개발 및 실증’ 완료
- 올해 1~3분기 벤처투자·펀드결성 모두 두 자릿수 증가
- 네이버 커넥트재단, 로보틱스·AI 등 미래 인재 육성 강화
- 현대차, 싱가포르 과학기술청과 모빌리티·첨단 기술 협력 ‘맞손’
- 美실리콘밸리 ‘스타트업·벤처 캠퍼스(SVC)’ 내년 1월에 개소
- 레인보우로보틱스, 삼성중공업과 로봇 기반 자동화 사업 협력
- “자율주행 기술 레벨2+ 확산이 변곡점”…차량용 SoC 시장 재편된다
- 카카오모빌리티, 국내 최초 ‘로봇발레’ 서비스 개시
- 오픈마인드, LG전자와 차세대 로봇 안전기술 공동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