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PS 선제 도입, 별도 코어망 구축 없이 SA/NSA 동시 수용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KT가 5G 단독모드(SA)와 비단독모드(NSA)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코어망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NSA는 제어 부분은 LTE망, 데이터 부문은 5G망으로 분리 서비스하는 반면 SA는 제어와 데이터 모두 5G망으로 처리한다. SA는 LTE망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NSA 방식에 비해 지연시간이 단축된다.
SA 서비스로 전환을 위해서는 3GPP SA 국제표준에서 정의한 SA 서비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장비를 개발-도입해야 한다. KT는 CUPS(Control & User Plane Separation)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SA 서비스를 위해 별도로 코어망을 구축해야 하는 문제를 해결했다고 설명했다.
KT는 지난해 4월 NSA 기반의 5G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면서 NSA 코어망에 CUPS 기술을 도입해 SA를 통합 수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NSA와 SA 규격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5G 통합 코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CUPS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NSA 코어망의 경우 SA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코어망을 구축해 기존 NSA 코어망과 연동해야 한다.
KT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토대로 신규 장비를 설치하지 않고 기존 설치-운용 중인 NSA 코어 장비에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SA 서비스까지 함께 수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원거리 표준 CUPS 구조, 5G 통합 세션 관리, 가상화 인프라 통합 오케스트레이션, 서비스 맞춤형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초저지연 엣지 통신센터 접속 제어 등 SA 핵심기술이 적용됐다. KT는 5G 통합 코어 기술을 전국 8개 엣지 통신센터에 적용할 방침이다.
이 기술은 NSA, SA 및 5G-LTE 네트워크간 데이터 이동에도 동일한 코어장비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비간 처리과정이 단순화되면서 안정적인 통신품질을 제공할 것으로 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KT 네트워크연구기술단장 서영수 상무는 “KT는 5G 상용화 당시 NSA뿐 아니라 SA 서비스까지 염두에 두고 CUPS를 선제적으로 도입해 국내 최초로 5G 통합 코어망 구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파워텔, 재난망 연동 가능한 LTE 무전 서비스 ‘파워톡 3.0’ 출시
- SKT, “3.5GHz 경쟁력 확보로 5G 리더십·생태계 강화”
- 키사이트, TTA에 5G 디바이스 테스트 솔루션 공급
- 화웨이·미디어텍, 5G 슈퍼 업링크 5G NR 상호운용성 테스트 완료
- 키사이트·퀄컴, 5G NR 핵심 ‘동적스펙트럼공유(DSS)’ 기술 고도화 추진
- 유블럭스 저전력 IoT 칩셋, AT&T LTE-M 인증 획득
- 화웨이, SA 선정 ‘5G 표준화 정립 기여도’ 1위 기업 선정
- 용산IDC 시대 연 KT,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로 DX 실현 지원할 것”
- [포토] 최남단 이어도 해양기지에 5G 연결됐다
- SKT·삼성, 릴리즈16 국제표준 적용 ‘클라우드 코어망’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