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과 포항과학산업연구원(RIST)이 기업의 생산성 및 작업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 중인 디지털트윈(DW) 기반의 실감기술(XR)의 실증에 들어간다.
양측은 RIST 내 포스코케미칼 이차전지 소재(양극제/음극제) 파일롯 제조공장에 적용하고 솔루션 시연 및 실증 테스트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추진하는 XR융합프로젝트(제조)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올해 8월부터 3년간 총 1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주관기관은 KETI며 RIST, ETRI, 온메이커스, 버넥트, 스탠스, 프론텍이 참여한다.
이차전지 소재 시장은 전기차(EV) 배터리의 수요가 최근 크게 늘면서 제조공정의 디지털화를 통한 단위 설비당 생산량 증대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들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개발한 DW 기반의 XR기술은 실제 포스코케미칼의 파일롯 제조설비를 가상으로 동일하게 만들고 공정 상의 각종 데이터를 가상환경에서 시뮬레이션해 최적의 신공정을 개발, 도출하는 게 목표다.
다자 간 원격 협업 및 교육-훈련을 지원하는 XR 솔루션을 통해 초보 작업자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고, 작업장에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KETI의 설명이다.
KETI는 내년께 시뮬레이션 DW와 내후년 지능형 DW의 개발을 마무리하고 이와 연동하는 XR 솔루션도 확장할 계획이다.
기술 개발을 주도한 KETI 이경택 센터장은 “향후 시뮬레이션 DW와 지능형 DW 기반의 XR솔루션이 적용되면 신제품 개발 및 작업자 교육 기간 단축과 더불어 단위 공정의 시간당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원가절감 효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XR과 DW 기술의 융합을 통해 실감경제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 전기차(EV)용 부품 빅데이터 구축, ‘시흥 전기차 산업데이터센터’ 개소
- “경남 창원에 스마트 제조 공정혁신 데모공장 들어선다”
- 코오롱베니트·한국MS, DT 프로젝트 추진…공동사업 ‘맞손’
- 지멘스·숭실대, 스마트제조 전문인력 양성 ‘맞손’
- 디지털 제조 트렌드 조망…‘PLM 베스트 프랙티스 컨퍼런스 2020’ 성료
- “2023년 시흥시에 전기차(EV) 제조 데이터센터 들어선다”
- 운영환경 개선을 위한 패치 관리 프로세스 분석 ➀
- ETRI, 스마트공장 설비 제어 5G IIoT 기술 시연
- “소리로 불량 원인 찾는다”…SKT·SK플래닛·화신, AI 스마트팩토리 구축 합의
- KETI·바디프랜드, 헬스케어 로봇 국산화 추진…MOU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