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적용한 드론·CCTV 서비스, 도시 정밀관제 서비스 적용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6일 ‘5G 드론 기반 관제서비스 솔루션’과 ‘5G CCTV 기반 지능형 도로안전 지원 서비스 기술’을 개발했다. ETRI는 2개 기술 모두 정밀관제 서비스를 위한 실증까지 마쳤다고 밝혔다.
ETRI와 KT가 공동개발한 5G 드론 기반 관제서비스 솔루션 기술은 드론을 이용해 위험지역 시설물을 실시간 원격제어하면서 KT 5G 망으로 고해상도(UHD) 영상 데이터를 보내는 기술이다.
기존에 영상 풀HD급 영상을 전송하던 통신 기술에 비해 현장 상황을 훨씬 정밀하고 선명하게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원격에서 드론의 영상 확대나 축소 등 제어나 영상 전송을 끊김이나 지연 없이 확인할 수 있어 접근이 어려운 교량이나 전송탑, 대형 경기장 등 붕괴위험 지역에 있는 시설물 점검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안전관리를 위한 공공시설물 관제 서비스에 적용해 지난 7월부터 대전시와 대구시 각각에서 실증을 진행했다.
이달 2일에는 ETRI는 대전시 서구 괴곡동 고리마을 부근에서 행정안전부-대전시가 주관하는 ‘2020년 겨울철 스마트 폭설대응 현장훈련’에 최초 적용하기도 했다.
훈련은 폭설로 인해 피해를 많이 입은 지역에 재난 상황을 가정해 시설물 붕괴, 도로교통 상황을 드론으로 실시간 확인하면서 대응하는 과정으로 진행됐다.
5G CCTV 기반 지능형 도로안전 지원 서비스 기술은 AI칩을 CCTV에 내장해 현장에서 도로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상황을 실시간 인식하도록 개선한 기술이다.
기존의 지능형 CCTV는 촬영한 영상을 중앙관제센터로 전송한 뒤 센터에 위치한 서버에서 분석하는 후처리 방식으로 이다.
현장 주변에 음향 장치나 디지털 사이니지,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로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기능으로 안전사고에도 즉각 대응 가능한 점도 특징으로 내세웠다.
연구진은 2018년도부터 공동연구기관인 대구시 소재 알파시티와 대전시 소재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실증지역으로 선정, 이 기술을 검증해왔다.
ETRI 도시·공간ICT연구실 한미경 책임연구원은 “5G가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적용돼 화재나 폭설과 같은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재난이나 도시 방역, 교통상황, 자율주행 등 다양한 도시 안전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신한생명, 부산 에코델타시티에 금융-헬스케어 연계 서비스 공급
- NIA, 회복탄력성 제고 ‘디지털정부·스마트시티’ 온라인 교육 오픈
- 데이터 활용한 신 경제모델 조망, ‘제2회 K-DA 컨퍼런스’ 27일 개최
- 자율주행버스 사업 추진하는 LGU+, “내년 3분기 실증 완료”
- 국토부, 부산 에코델타 시범도시 스마트빌리지 입주자 모집 시작
- 문 대통령, “스마트시티는 국가의 미래, 지역 균형 뉴딜전략 추진할 것”
- KETI·SKT, 융합생태계 조성 ‘맞손’…다기능 AI 라이다 시스템 공동개발
- LG그룹 AI연구원 공식 출범…“원천기술 확보, 그룹사 난제 해결” 담당
- ETRI·대전시, 디지털트윈(DW)으로 가상모델 구현…“AI 지능형 도시 구축”
- 한국IDC, ‘제7회 스마트시티 아시아태평양 어워드’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