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상하이 포럼 개막연설, ESG 중심 협력 강조

사진은 지난해 5월 중국 상하이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상하이 포럼 2019 행사에서 최 회장이 개막연설을 하는 모습 [사진=SK그룹]
사진은 지난해 5월 중국 상하이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상하이 포럼 2019 행사에서 최 회장이 개막연설을 하는 모습 [사진=SK그룹]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최태원 SK회장이 이달 초 열린 도쿄 포럼에 이어 18일 온라인으로 열린 상하이 포럼에서 글로벌 환경·사회 위기 극복을 위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중심의 글로벌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날 한국고등교육재단과 최종현학술원, 중국 푸단대가 ‘다가오는 10년, 아시아의 새로운 여정’을 주제로 공동으로 개최한 ‘상하이 포럼 2020’ 개막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로 15회째를 맞은 이번 포럼에 최 회장은 SK가 설립한 장학재단인 한국고등교육재단 및 최종현학술원의 이사장 자격으로 참여했다. 

파울러 레토마키 북유럽 각료회의 사무총장, 수잔 손턴 전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대행, 쉬닝성 푸단대 총장, 웨이상진 컬럼비아대 교수 등 학계와 정부 및 국제기구 관계자 20여명이 참여했다.

최 회장은 개막연설에서 “인류는 글로벌 환경·사회적 위기에 팬데믹까지 더해진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 도전들은 글로벌 사회의 포괄적이고도 조화로운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위기를 불러온 인간의 행동과 관행을 근본적으로 바꿀 제도와 관리 방안을 찾아 글로벌 사회가 공동협력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구체적 협력 방안으로 ”기업들이 친환경 사업, 사회적가치, 신뢰받는 지배구조 등을 추구하는 ESG 경영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 나가야한다”고 강조하며 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측정 및 보상 수단의 진화발전, 공감에 기반한 사회적 포용 등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해 금전적으로 보상하는 사회성과인센티브(SPC) 제도를 시행하는 SK의 사례를 들었다.

2016년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올리버 하트 하버드대 교수는 기조연설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는 개인 주주들이 기업 경영에 참여해 목소리를 높임으로써 정책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며 “기업들은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얼마만큼의 이익을 포기해야 할지 주주들에게 물어야 하는 시대가 몇 년 안에 도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