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KT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 제안한 ‘이종 양자키분배(QKD) 장치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이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내 표준안으로 최종 채택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표준안 채택으로 KT는 2019년에 이어 2개의 양자암호통신 관련 국내 표준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TTA 국내 표준으로 제정된 ‘QKD 네트워크 장치간 상호 운용을 위한 인터페이스 및 관리 모델’은 양자암호 키를 분배하는 장치와 관리 시스템이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성 장비(구성요소)간의 연동에 필요한 데이터와 데이터의 형식, 프로토콜을 명시적으로 제안한 실질적 표준이다. 다양한 제조사의 양자암호 관련 장비를 하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양자암호 시스템을 쉽고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게 KT의 설명이다.
국내 양자암호 장비 제조사와 소프트웨어정의네트워크(SDN), 네트워크관리시스템(NMS), 응용서비스 제공자의 관련 산업 주도권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T는 이 국내 표준 기반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양자암호키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뉴딜 양자암호인프라 구축사업에서 국내 3종 QKD와의 연동을 통해 다기종 양자암호인프라 구축을 완료했다.
KT 인프라연구소장 이종식 상무는 “TTA 국내 표준 채택을 통해 국내 양자키 분배 장치와 솔루션을 관련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며 “KT가 국내 양자암호통신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안정적인 양자암호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T, 무중단 양자암호통신 가능 ‘양자채널자동절체복구기술’ 개발
- SKT, 통합 계정 플랫폼 ‘T아이디’에 양자암호기술 적용
- 양자암호통신 사업 확대하는 도시바, “2035년 시장 점유율 25% 확보”
- 한화시스템, NIA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구축’ 사업 참여…기술력 확보
- 강원도, 디지털 뉴딜 ‘양자암호통신 시범 인프라’ 수행기관 선정…국비 35억원 확보
- 양자암호통신 시범인프라 구축사업 본궤도…8개 컨소시엄 선정·발표
- SKT, 양자암호통신·광통신 네트워크 통합 관리 규격 표준화 추진
- KT, 콘텐츠 전문기업 ‘KT스튜디오지니’ 상반기 출범
- LGU+, 을지대병원 의료정보시스템에 PQC 기술 적용
- ETRI, 코로나 영향에도 표준화 성과…지난해 국제표준특허 72건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