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지난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악화된 연구환경에서도 국제 표준화 부문에서 성과를 거뒀다.
17일 ETRI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표준특허 72건을 확보하면서 누적 국제표준특허가 943건이 됐다. 국제표준 제정 78건, ETRI 국제표준특허 반영 기고서 44건의 실적도 함께 달성했다.
전년비 국제표준특허는 167%, 국제표준 제정은 200%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 국제회의가 비대면으로 전환됐으나 국내 기관 중 최고 수준의 국제표준화 실적을 기록했다는 게 ETRI의 설명이다.
ETRI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연계, DNA(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와 주요 ICT융합서비스 분야에서 국내 시장 수요를 반영, 표준화에 대응해왔다.
주로 확보한 국제표준특허에는 차세대 비디오 압축표준(VVC) 분야 33건과 5G NR 분야 17건 등 시장 수요가 높은 상용표준특허가 다수 포함돼 있다.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IoT, 블록체인 등 기술도 다수 포함돼 있다고 ETRI는 설명했다.
AI 관련 국제표준화부문에서도 성과를 이뤘다. 특히 세계 최초 머신러닝(ML) 개발 전 과정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한 국제표준을 제정했다.
ETRI 강신각 표준연구본부장은 “지난해 코로나로 인한 새로운 ICT 표준화 활동 방안 정립 및 대응의 원년이었다. 올해는 지난해 경험과 ICT 표준화 대응체계를 바탕으로 뉴노멀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다각적인 글로벌 표준화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ST마이크로, 저비용·장거리 IoT 기술 연합체 ‘제타얼라이언스’ 합류
- ETRI, 그물망 접속 방식 위성통신 전용 모뎀칩 개발
- 코로나19가 견인한 미래 업무환경의 변화상, 그리고 모색점
- ETRI, 디스플레이·광통신 부품기업 자립화 지원 확대
- ETRI, ‘디지털트윈(DW)’ 기술-활용안 담은 보고서 발간
- KT 제안 ‘양자암호통신 상호운용 인터페이스’ 기술, TTA 표준 채택
- 실내에서 5G ‘제대로’ 즐긴다…ETRI, 실내 5G 광중계기 개발
- 경기도,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AI 정책자문단 발족
- KT, GTI 회원사와 5G 기술 조망한 백서 발간
- ETRI·KISTEP, 디지털 휴먼증강 미래유망 기술 18개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