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부터 포드 ‘링컨’에 구글 AI서비스, 안드로이드오토 등 탑재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구글이 완성차기업 포드(Ford)에 6년간 차량 커넥티비티/클라우드 기술을 제공하는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포드는 서비스 연구개발(R&D)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커넥티드카 시장에서 후발주자인 구글은 대형 고객사를 확보하게 된 셈이다.
CNBC의 1일(미국시간) 보도에 따르면, 양사는 이날 이 같은 내용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체결로 구글은 향후 6년간 포드 자동차에 탑재되는 커넥티비티(연결성) 기술의 주요 부문을 담당하게 된다.
이번 협약으로 포드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링컨에는 2023년부터 AI비서인 구글 어시스턴트와 안드로이드오토, 구글 지도 서비스 등이 탑재된다.
구글플레이도 지원하면서 포드 자체 서비스와 타사 개발자 등 관련 서비스 개발 생태계도 활성화될 것으로 포드는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공급체인 물류 서비스와 자동차 생산 등의 분야에 구글의 AI기술을 도입하면서 효율성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양사의 이번 협업은 포드의 사업 효율화를 위해 체결됐다. 최근 몇 년간 자체 커넥티비티 서비스 개발에 연간 수억달러를 지출해온 포드 입장에서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글은 클라우드 시장에서 핵심 고객사를 확보하면서 양측 모두 시너지를 노릴 수 있다.
짐 팔리 포드 CEO는 “우리 전략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 협력”이라고 밝혔다. 데이비드 맥클랜드 전략부문 부사장도 성명을 내고 “구글과의 파트너십은 양사간 전문성, 효율성을 높이면서 더 많은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포드의 경쟁사인 제너럴모터스(GM)는 2019년 구글의 음성비서와 각종 앱 서비스를 올해부터 자사 차량에 통합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관련기사
- 볼보, 차량용 앱 개발자 위한 개방형 포털 오픈…생태계 확장 집중
- GCP, 통합 제로 트러스트 솔루션 ‘비욘드코프 엔터프라이즈’ 출시
- 깃랩, IBM 클라우드 팩 지원 ‘깃랩 얼티미트’ 발표
- 전장반도체 수급부족, 완성차 생산 ‘빨간불’…일부 기업 칩 단가 인상 시도
- 에너지 산업 재편 가속화…‘3분기 에너지 M&A 거래액, 전분기비 900% 증가’
- 스트라드비젼, ISSI 출신 임원 영입…日 시장공략 확대
- 日 도요타, 2천만원 이하 소형EV 출시…EV·SW 전략 다각화
- 르노삼성, 하반기 출시 신차에 KT 커넥티드카 서비스 확대 적용
- 베스핀글로벌, 핀옵스 커뮤니티 ‘핀옵스코리아’ 오픈
- “제너럴모터스(GM) 이어 포드도 전기차(EV)에 올인”…R&D 투자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