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니퍼 보고서, 단기 아닌 장기적 이점 고려하는 기업 늘어

[source=juniper networks]
[source=juniper networks]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주니퍼네트웍스가 데이터 보안-확장 이슈에 대한 향후 도전과제와 해결책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는 아태지역(APAC) 77개 통신서비스프로바이더의 업체 네트워킹과 보안 의사결정자를 대상으로 주니퍼가 옴디아(Omdia)에 의뢰,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담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보안 용량 증대를 위한 신규 하드웨어 투자는 일부 업체에 국한되며 대부분의 서비스프로바이더는 보안 예산이 동결될 것으로 예상했다. 

응답자의 68%는 지난한 보안위협이 상당히 증가했다고 답했으며, 78%가 올해에도 상당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응답자의 52%는 보안 용량을 2배로 증대시킬 계획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10%는 보안 기술에 대한 자체 예산이 10% 이상 증가할 것이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73%는 네트워크 트래픽과 아키텍처에 대응해 보안 용량을 증대시킬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편 응답자의 68%는 자사의 보안 아키텍처가 이미 변화하고 있거나 향후 18개월 내 변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응답자의 8%만이 변경 계획이 전혀 없다고 말했는데, 일부 경우는 이미 보안 재설계가 이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장기적인 네트워크 인프라 진화의 일부인 보안 아키텍처 변화의 주 요인으로는 가상화(65%), 멀티클라우드(57%), 최신 보안 도구/기술 도입(57%), 분산/엣지 아키텍처로의 전환(51%) 등이 꼽혔다.

응답자의 91%는 통합 네트워킹이나 보안 솔루션을 활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29%는 통합이 필수적이며, 특히 보안이 통합돼 있지 않은 신규 네트워킹 솔루션에는 투자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응답자의 43%는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일 벤더를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통합 솔루션의 이점을 활용하고자 이미 내부적으로 조직을 통합-운영하고 있다는 비율은 36%에 달했다.

제프 윌슨 옴디아 사이버보안 부문 수석애널리스트는 “일견 보안 규모와 성능을 개선하고 운영을 단순화하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조사 결과 응답자 대부분은 가시성과 보안 효율성 향상을 주요 동인으로 지적했다. 이 모든 것이 사실이며 지금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리 밍 카이 주니퍼네트웍스 APAC 시스템엔지니어링 책임자는 “네트워크 트렌드가 가상화된 클라우드 인프라와 엣지 아키텍처로 나아가는 상황에서 보다 긴밀한 협력을 위해 보안이 아키텍처에 내장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는 즉각적인 규모와 비용문제 해결을 위한 단기적이자 임시방편이 아닌, 자동화된 보안·네트워킹 솔루션을 구현을 목표로 장기적인 이점을 고려하는 기업이 늘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