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연, 올해 생산액 110조원 내외, 파운드리 등 반도체 장비 성장세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올해 기계산업이 코로나19 팬데믹 충격을 딛고 1% 이상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9일 한국기계연구원이 발간한 ‘기계산업 2020년 성과와 2021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기계산업 생산액은 지난해(103조원) 대비 1% 이상 성장한 105조∼110조원대로 예상된다.
주요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긍정적인 시장 상황을 전망하고 있고 코로나19 백신 보급이 확산되며 기반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주요국의 급격한 정책 변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칭적 경기 충격 등 글로벌 불확실성도 여전히 존재해 성장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 보면 반도체 장비는 전방산업의 상승세에 힘입어 전년보다도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플랜트 분야도 액화천연가스(LNG) 수요회복에 따른 발주 확대로 전년비 성장이 예상된다.
파운드리의 성장을 중심으로 전세계 반도체 장비시장이 2022년까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점도 긍정적인 신호다.
보고서는 향후 반도체 장비 시장의 메가트렌드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가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시스템반도체 시장 확보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플랜트와 건설기계 분야는 안정이 전망된다. 플랜트 분야의 중국, 동남아, 아프리카지역의 LNG 액화 플랜트 프로젝트에서 기회를 찾을 것으로 보이며, 건설기계 분야는 산업 활동 재개와 경기 부양을 위한 인프라 투자와 함께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작기계 산업은 2020년 전 업종에서 감소하며 2년 연속 내수와 수출 모두 약 20%의 큰 폭으로 하락했다. 아시아지역 국가가 회복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나, 주요국 관계자는 2021년에도 생산이 다소 감소할 것으로 관측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은 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업종을 중심으로 코로나19의 영향을 최소화한 반면, 조선·자동차 등 지역 주력산업의 부진으로 연중 하락세를 겪었다.
기계연 기계기술정책센터 김희태 선임연구원은 “2020년 기계산업은 코로나19의 영향에도 건재하며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했다. 2021년에는 메가트렌드와 정부 정책에 기인한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전년비 개선된 실적이 기대된다”며 “대중 무역의존도와 대일 무역역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장반도체 수급부족, 완성차 생산 ‘빨간불’…일부 기업 칩 단가 인상 시도
- 인텔, “2023년까지 내부 생산”…외부 파운드리 협력 가능성은 ‘긍정적’
- [포토] 삼성리서치 방문한 이재용 부회장, AI·6G 기술 점검
- 기계연, “탄소중립, 육성분야 투자·협력으로 신산업 선점해야”
- 네이버랩스, 미세 움직임 학습하는 ‘운동지능’ 탑재한 로봇 팔 공개
- “미래 로봇기술 조망하는 온라인 컨퍼런스 열렸다”
- 한국형 경항공모함 기술 개발…기계연, 선도형 핵심기술 과제 통합착수회의 개최
- “레고 모듈처럼 조립해 사용한다”…기계연, 모듈형 자율작업 로봇 개발
- 기계연, 충남대·보훈병원과 신체적 약자 위한 의료기기 개발
- 기계연·LS엠트론, VR 기반 산업용 기계 무인화 기술 개발·상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