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기술연구소서 중장기 전략 및 신기술 발표, 콘셉트카 엠비전X/POP 공개

31일 용인시 소재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전략발표회에서 기획부문장인 정수경 부사장이 중장기 성장전략과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모비스]
31일 용인시 소재 기술연구소에서 열린 전략발표회에서 기획부문장인 정수경 부사장이 중장기 성장전략과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모비스]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현대모비스가 미래 기술 경쟁력과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자동차부품 제조 기반에서 소프트웨어/하드웨어(SW/HW)를 통합한 플랫폼과 시스템 중심 선도기업 전환을 위해 전사 차원의 사업구조 혁신을 추진한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31일 경기도 용인시 소재 기술연구소에서 ‘현대모비스 전략 및 신기술 발표 컨퍼런스’를 열고 미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중장기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현대모비스가 제시한 중장기 성장전략(Transformation X-Y-Z)은 크게 3개 방향으로 추진된다. 기 확보한 핵심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와 신성장 사업으로 확장하면서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사측은 밝혔다.

이날 발표에 따르면, 우선 미래 성장을 위해 글로벌 사업자로의 혁신(Transformation X)을 지속 추진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 자율주행과 전동화, 커넥티비티 등 미래차 핵심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해외 완성차업체로의 사업을 확대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기술 유망기업에 대한 전략투자 등 오픈 이노베이션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현재 현대모비스는 라이다 1위 업체인 벨로다인라이다에 대한 전략투자를 통해 레벨3 라이다 시스템 양산을 위한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영국 엔비직스와는 증강현실(AR), 홀로그램 기반의 헤드업디스플레이(HUD) 기술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혁신(Transformation Y)도 추진한다. 고객 니즈에 맞춰 신규 모빌리티 서비스 시장에서 사업범위를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사측은 러시아 IT기업 얀덱스와의 기술 및 사업 제휴를 통해 레벨4 자율주행 로봇택시를 개발하고 있으며 사업 모델 구체화 작업도 함께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사업모델 혁신을 위해 글로벌 전기차(EV)나 목적기반차량(PBV) 업체 등에 전용 플램폼을 제공하는 미래 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자로서의 전문역량도 확보할 계획이다.

장기 신성장 사업발굴(Transformation Z)에도 적극 나선다. 혁신 기술에 기반한 신사업 추진과 관련된 것으로 최소 10년 후 미래를 대비해 기존 자동차 사업영역 외 분야에서도 장기 성장동력을 마련하기 위함이라고 현대모비스는 설명했다.

정 부사장은 “그룹 차원에서 UAM 사업 분야에서의 협력을 모색 중으로 진출 가능한 분야와 사업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며 “UAM 사업에서 전동화 추진체, 항공 전장 등 분야에서 현대모비스의 사업 역량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대모비스는 이날 전략 발표와 함께 기술 방향성이 담긴 도심 공유형 모빌리티 콘셉트카인 엠비전X(M.Vision X)와 엠비전POP(M.Vision POP)을 공개하고 신기술 시연도 진행했다.

현대모비스 콘셉트카 엠비전X 내부
현대모비스 콘셉트카 엠비전X 내부

엠비전 X는 목적기반형 4인용 모빌리티로 일반적인 자동차보다는 내부에서 공연 관람과 파티까지 즐길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콘셉트카다. 자율주행차로 좌석의 위치, 방향을 조정해 탑승자끼리 서로 마주보고 앉는 것도 가능하다.

중앙에 위치한 버티컬 콕핏(Vertical Cockpit) 탑재로 터치가 아닌 제스처만으로 명령을 인식할 수 있고 자율주행 모드, 인포테인먼트(IVI) 등 주행 관련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엠비전 POP은 신기술을 통해 탑승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데 초점을 둔 EV 기반의 초소형 모빌리티 콘셉트카다. 스마트폰을 운전대에 끼워 차량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포빌리티(Phobility) 기술을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현대모비스는 핵심동력인 연구개발(R&D) 역량 강화를 위한 직접투자도 현재 1조원 수준에서 2025년에는 1조7000억원 수준으로 지속 확대하기로 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독자기술을 확보를 위해 선행기술 연구개발에 자원 투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전체 연구개발비 대비 14% 수준인 선행기술 연구개발비를 2025년엔 30%까지 늘린다.

현대모비스 정수경 기획부문장(부사장)은 “제품-서비스가 결합된 모빌리티 플랫폼 생태계로 진화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에서 글로벌 부품사의 역할에도 구조적인 변혁이 요구되고 있다”며 “앞으로 SW/HW 통합 플랫폼과 시스템 선도기업으로 위상을 확보하고 핵심역량을 활용한 영역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