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네이버가 한국어 기반의 초거대 AI언어모델을 자체 개발한 데 이어 이달 검색 서비스에 이 모델을 적용했다.
11일 네이버에 따르면, 사용자가 오타를 입력하거나 맞춤법을 잘못 입력하는 경우에 올바른 단어로 전환해 검색하거나 적절한 검색어를 추천해 주는 검색기능에 한국어 초거대 AI언어모델을 이달 6일 서비스에 적용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잘못된 검색어를 입력해 검색 결과에 아무런 정보도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민들레꽃과냉이차이끛’이라고 검색하더라도 ‘민들레꽃과 냉이꽃 차이’로 자동 변환해 결과에 반영하는 구조다.
언어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네이버 김선훈 리더는 “이번 초거대 AI모델 적용을 통해 예측 성능을 향상시켜 검색 결과가 0건인 경우를 올해 절반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3분기 내 사용자가 잘못 입력한 검색어에 대한 수정의견을 제안하거나 사용자의 검색 흐름에 따른 맥락을 분석해 다음 검색어를 예측해 추천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네이버 자연어처리(NLP) 조직을 이끄는 강인호 책임리더는 “그간 초거대 언어모델이 주목을 받아왔지만 실제 대규모 유저 서비스에 이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모델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개선하는 등 고도의 기술력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개발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인공지능(AI/ML)이 자연어처리 과정에서 문장의 품사를 알아내는 방법 ①
- 네이버, “실리콘밸리 중심 북미지역 R&D 네트워크 강화”
- KT, 우리은행·IBM과 NLP/AI모델링 등 금융권 AI서비스 개발 ‘맞손’
- 현대해상, 모바일 AI챗봇 서비스 ‘마음봇’ 오픈
- 마인즈랩, 온라인 컨퍼런스서 지능형 가상인간 ‘AI휴먼’ 공개
- “여권도 인식 가능”…네이버클라우드, ‘CLOVA Document OCR’ 모델 출시
- “사용자 친화적인 치타(CHEETAH) 앞세워 ML옵스(ML-Ops) 환경 제시할 것”
- 전세계 AI시장 규모, 2025년 1840억달러…연평균 38.4% 성장률
- “전세계 기업 38%, 코로나19 확산 기간에 업무자동화 툴 사용 늘렸다”
- 네이버, 유료 콘텐츠 플랫폼 ‘프리미엄 콘텐츠’ CBT 개시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