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보고서, 효율성 제고 및 경비절감 목적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전세계 기업 3곳 중 1곳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업무자동화 도구 사용을 늘렸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2일 IBM이 전세계 15개국 5,501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담은 ‘전세계 인공지능 도입 지수 2021’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 중 38%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자동화 방식 사용을 증가시켜 직원 생산성을 높였다고 답했다.
설문 응답 기업의 61%는 이미 업무 자동화 소프트웨어(SW)를 사용하고 있으며 19%는 1년 내 도입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업무자동화 툴을 쓰는 이유로는 ▲효율성 추구 ▲경비절감이 각각 58%(중복응답)로 가장 많이 꼽혔다.
업무환경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 기업은 31%로 나타나 지난해 조사 결과와 큰 차이가 없었다. AI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답한 기업은 43%로 조사됐다.
AI 도입 과정에서의 걸림돌로는 ▲AI 관련 전문성 및 지식의 부족이 39%로 가장 많이 꼽혔다. 이외 ▲데이터 복잡성 증가가 32% ▲AI 모델 개발을 위한 도구 및 플랫폼 부족이 28%로 집계됐다.
한편 가장 주목받은 AI 기술 분야로는 언어를 기계가 이해하고 처리하는 자연어처리(NLP) 부문으로 조사됐다. 설문 응답 기업의 42%는 현재 사업에 NLP를 도입해 사용하고 있었다. 26%의 기업은 1년 내 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NLP 도입의 장벽으로는 ▲높은 비용이 29%로 가장 많았다. 이외 ▲훈련 부담 과다가 26% ▲업데이트 어려움이 24%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 오타도 알아서 수정·검색…네이버, ‘초거대 AI언어모델’ 검색 서비스에 반영
- 인공지능(AI/ML)이 자연어처리 과정에서 문장의 품사를 알아내는 방법 ①
- KT AI컨텍센터(AICC) 서비스,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 획득
- 삼정KPMG, “은행업계는 생존 위해 디지털 비즈니스, DT 도입해야”
- 삼성SDS, RPA+챗봇 융합 ‘브리티웍스’ 업무협업 솔루션 사업 확장
- 포스코ICT ‘에이웍스’, 농수산식품유통공사 RPA 구축 프로젝트에 도입
- 그리드원·비에스지원, AI 자동화 솔루션 사업 활성화 ‘맞손’
- ‘잔여 백신’ 당일예약 시스템 시범운영…27일 네이버·카카오 앱(App)서 개시
- [인사] 한국IBM, 신임 대표이사에 원성식 사장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