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초고성능 컴퓨팅 강국 진입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열린 ‘제3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혁신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컴퓨팅 파워 5위 ▲선도기술 24개로 확대 ▲신서비스 10개 창출 등을 목표로 세웠다.
특히 10대 분야(소재·나노/생명·보건/ICT/기상·환경/자율주행/우주/핵융합·가속기/제조기반기술/재난·재해/국방·안보)를 선정하고 초고성능 컴퓨팅 활용 파급효과를 적용하기로 했다.
먼저 정부는 현재 전세계 21위 수준인 국가센터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2023년까지 6호기로, 2028년까지는 7호기로 순차 교체-운영하고 성능 고도화를 통해 2030년까지 컴퓨팅 파워 5위에 진입하겠다고 설명했다.
2030년까지 기상·국방 등 분야별 전문센터와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 간 연동체계도 구축한다.
4대 분야(프로세서/플랫폼 기술/데이터집약형 기술/활용기반 기술)에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고 현재 최고기술 대비 60∼70% 수준인 기술력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특히 원천기술을 확보해 2030년까지는 1초에 100경회 연산이 가능한 엑사급 초고성능 컴퓨터를 설계-제작-설치하고 완제품 시장에 진입할 방침이다.
엑사급 컴퓨터는 현재 중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지에서 2022년께 공개를 목표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의 50%를 핵심 10대 전략 분야에, 20%는 기업에 우선 제공할 계획이다. 전문화된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과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고성능 컴퓨팅 R&D기업과 전문인력도 육성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고성능 컴퓨팅은 도전적인 분야이지만 과거 ICT강국으로의 도약 경험과 세계 최고 수준 반도체 역량 등을 바탕으로 모든 관계부처와 민관이 함께 혁신전략을 이행한다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실리콘아츠, 美 픽실리카와 ‘레이코어’ GPU IP 공급계약 체결
- IPU 설계자산(IP)기업 그래프코어, 슈퍼마이크로 울트라 서버 인증 발표
- 이노그리드, 소프트웨어정의 서버HPC 기술 특허 3건 출원
- “메모리에 AI엔진 탑재, 지연시간 최소”…삼성, HBM-PIM 개발
- 광주시, 데이터센터 사업자에 NHN 선정…이달 중 착공
- 서버용 AI칩 ‘사피온 X220’ 공개한 SKT, “글로벌 AI칩 시장 공략” 드라이브
- 슈퍼마이크로·PFN, 슈퍼컴퓨터(HPC) ‘MN-3’ 그린500 반기별 산업평가 1위
- 엔비디아 DGX 기반 HPC 구축한 콘티넨탈, 본격 가동 개시
- 통신재난 시 타 시설 공동이용…‘방송통신발전법 기본법’ 일부개정안 의결
- 5월 수출액 45.6% 늘었다…32년 만에 최대폭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