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정부가 2030년까지 초고성능 컴퓨팅 강국 진입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열린 ‘제3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혁신전략’을 발표하고 2030년까지 ▲컴퓨팅 파워 5위 ▲선도기술 24개로 확대 ▲신서비스 10개 창출 등을 목표로 세웠다.

특히 10대 분야(소재·나노/생명·보건/ICT/기상·환경/자율주행/우주/핵융합·가속기/제조기반기술/재난·재해/국방·안보)를 선정하고 초고성능 컴퓨팅 활용 파급효과를 적용하기로 했다.

먼저 정부는 현재 전세계 21위 수준인 국가센터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2023년까지 6호기로, 2028년까지는 7호기로 순차 교체-운영하고 성능 고도화를 통해 2030년까지 컴퓨팅 파워 5위에 진입하겠다고 설명했다.

2030년까지 기상·국방 등 분야별 전문센터와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 간 연동체계도 구축한다.

4대 분야(프로세서/플랫폼 기술/데이터집약형 기술/활용기반 기술)에서 연구개발(R&D) 투자를 강화하고 현재 최고기술 대비 60∼70% 수준인 기술력을 8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특히 원천기술을 확보해 2030년까지는 1초에 100경회 연산이 가능한 엑사급 초고성능 컴퓨터를 설계-제작-설치하고 완제품 시장에 진입할 방침이다.

엑사급 컴퓨터는 현재 중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세계 각지에서 2022년께 공개를 목표로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정부는 국가 초고성능 컴퓨팅 자원의 50%를 핵심 10대 전략 분야에, 20%는 기업에 우선 제공할 계획이다. 전문화된 응용소프트웨어 개발과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고 초고성능 컴퓨팅 R&D기업과 전문인력도 육성하기로 했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초고성능 컴퓨팅은 도전적인 분야이지만 과거 ICT강국으로의 도약 경험과 세계 최고 수준 반도체 역량 등을 바탕으로 모든 관계부처와 민관이 함께 혁신전략을 이행한다면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