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김소현 기자] 네이버가 내달 1일부터 전주시에서 AI 기반의 클로바 케어콜 솔루션을 활용해 코로나19 백신 예방 접종자에 대한 이상반응 모니터링 시범 서비스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AI를 활용해 백신 접종자 모니터링 서비스를 시작하는 건 네이버와 전주시가 지자체 중 이번이 최초다.
네이버는 지난해 3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코로나19 능동감시자 모니터링을 위한 AI 기반의 클로바 케어콜 솔루션을 개발해 성남을 시작으로 부산, 수원, 서초, 인천 부평, 의정부, 화성에 공급하고 있다.
이번 시범 서비스에도 클로바 케어콜이 활용된다. 서비스 방식은 코로나19 능동감시자 모니터링과 유사하다.
백신 예방접종을 한 전주시민에게 클로바 케어콜이 접종일로부터 3일간 매일 한차례 전화를 걸어 이상반응 여부를 체크한다. 이상반응 발생 시 방역 담당자가 2차 확인 및 관리에 나서는 구조다.
전주시는 일부 지역에서 7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이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이며 6월 한 달간 운영 후 대상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백신접종은 시민 모두의 전폭적인 협조와 행정과 의료진의 안전하고 신속한 접종, 지역사회 전반의 철저한 대응시스템 등 3박자가 반드시 갖춰져야 한다”며 “이번 협력으로 코로나19 대응 인력의 업무부담을 해소해 원활한 백신 접종을 이어 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석근 네이버 클로바 CIC 대표는 “감염 확산 관리에 이어 백신 접종시기에도 의료진이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실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고도화하고 다양한 지자체와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넷마블, '코로나19' 백신 휴가제 도입…2회 접종에 4일 휴가
- ‘잔여 백신’ 당일예약 시스템 시범운영…27일 네이버·카카오 앱(App)서 개시
- SK바이오사이언스, 국제민간기구서 코로나 백신 개발비 2천억 추가지원
- 한미약품, 제넥신 개발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 진화하는 코로나19 진단기술…15개월새 특허출원 189건
- SKT, 충남도와 ‘누구 백신 케어콜’ 구축·운영 MOU…3분기 서비스 개시
- “AI로 백신 접종 돕는다”…SKT·질병청과 ‘누구 백신 케어콜’ 구축 MOU 체결
- 네이버 ‘클로바 케어콜’, 부산시 6개 보건소에 도입
- 한국기업데이터, '코로나19' 백신휴가 도입…직원 복지 개선에 힘써
- 카카오, 음성 기반 소셜 오디오 서비스 ‘음(mm)’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