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박인환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24일 미국 워싱턴대학 항원디자인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코로나19 백신후보 물질(GBP510)의 임상 3상의 연구개발비로 최대 1억7340만달러(약 2천억원)를 국제민간기구 ‘전염병대비혁신연합(CEPI)’에서 추가 지원받는다고 밝혔다.
앞서 SK바이오사이언스는 CEPI에서 임상 1·2상 수행, 공정개발 및 변이주 관련 연구 부문에서 비용을 지원받았다.
이번 조치로 SK바이오사이언스는 GBP510 관련 개발비로만 총 2억1010만달러를 확보하게 됐다. 이는 국내 단일 백신 개발 국제 지원금으로는 최대 규모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추가 확보한 자금을 GBP510의 다국가 임상 3상 수행과 인허가, 연간 수억 회분 생산규모의 상업공정 개발 및 원자재 도입, 변이주에 대한 추가 연구개발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GBP510은 지난해 말 임상 1·2상에 진입했으며 현재 임상 2상 단계에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르면 내달까지 다국가 임상 3상 시험계획을 국내 식약처 등 관련 국가의 허가 당국에 제출할 예정으로 이르면 내년 상반기 내 상용화가 목표다.
GBP510은 CEPI가 지난해 시작한 차세대 코로나19 백신 발굴을 위한 ‘웨이브2(Wave2)’ 프로젝트에서 최초 선정됐다. 상용화되면 국제 백신 공동구매·배분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전세계로 공급된다.
관련기사
- 알에프세미, 무선센서 기반 콜드체인 모니터링 솔루션 출시
- 한미약품, 제넥신 개발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 정부, 2025년까지 수출 中企 2배 늘린다…‘수출지원 고도화 방안’ 확정
- 진화하는 코로나19 진단기술…15개월새 특허출원 189건
- 한컴헬스케어, 코로나19 중화항체 진단키트 식약처 수출용 허가 획득
- “AI로 백신 접종 돕는다”…SKT·질병청과 ‘누구 백신 케어콜’ 구축 MOU 체결
- 인천공항공사, KT·인하대병원과 ‘디지털헬스 패스’ 도입…3자간 MOU 체결
- LGU+, ‘해지 10년’ 넘은 고객 돈 다달이 인출…‘환급 거부’ 논란
- ‘잔여 백신’ 당일예약 시스템 시범운영…27일 네이버·카카오 앱(App)서 개시
- 네이버·전주시, 클로바 케어콜 ‘이상반응 모니터링’ 시범 서비스 개시
박인환 기자
piw@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