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먼리소스 줄인 자동화 표준기술 개발 목표
[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케이사인이 자회사 세인트시큐리티, 한국자동차연구원, 고려대학교와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인공지능을 이용한 차세대 보안 기술 기반, 자동차 및 차세대교통인프라(C-ITS) 보안성 강화’ 사업을 수행한다고 밝혔다.
C-ITS는 전기차(EV), 수소차 등 미래차 기술의 핵심요소로 꼽히는 IT기술과 5G 등 차세대 통신 기술을 결합해 자율주행, 차세대교통인프라, 스마트도로 정보 등을 위한 인프라로 보안성 강화가 필수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이 사업은 미래 교통수단 발전과 디지털국가 실현을 목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차세대 보안 기술을 개발을 중심으로 정보보호 핵심원천기술 개발사업 형태로 수행된다.
이 사업에는 정부출연금 57억원, 민간부담금 11억원 등 총 68억원이 투입된다.
케이사인 컨소시엄은 디지털트윈(DW) 기술을 이용해 C-ITS 인프라를 가상공간에 복제하고, 복제한 시스템은 AI를 활용해 공격과 방어를 자동 수행하도록 개발한다.
세인트시큐리티는 “보안성을 강화한다는 목표는 기존 보안 기술 연구와 비슷하나 능동적인 보안성을 강화하는 BAS(Breach and Attack Simulation) 기술이 적용되는 점이 차별점”이라고 전했다.
방어를 위한 방어기술이 아닌 실제 공격 기반으로 기술을 구현하는 게 목표로, AI기술을 극대화해 휴먼리소스 개입을 최소화하고 스스로 공격-방어를 수행하며 성장하는 능동적 시스템을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
컨소시엄은 이 기술이 자동차, 모바일 등을 포함한 클라우드 인프라 전 영역에 대한 공격루트와 자동화된 공격 기술을 원천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확보된 기술은 마이터 어택(MITRE ATT&CK)의 엔터프라이즈, 모바일, 산업제어시스템(ICS) 대상 공격 모델인 TTP(Tactics, Techniques, Procedures)에 적용, 기술 자체를 표준화할 수 있게 된다.
과제 총괄 책임자인 어성율 케이사인의 전무는 “C-ITS 인프라는 자동차를 포함한 교통, 도로 체계, 횡단보도를 건너가는 일반 시민까지도 보호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며 “단순 정보보호 기술 개발에서 발전해 시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디지털 안심 국가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전방 교통사고, T맵이 3분 내 알려준다…SKT, ‘사고포착알리미’ 서비스
- NIA, 신기술 사업화 지원…지능형 초연결망 사업 본격화
- 신산업 플랫폼 자율주행차, “사회적 문제 해결 수단으로도 활용해야”
- [톡 with 스타트업] “ADAS/AD 카메라 센싱? SV넷(SVNet) 하나면 OK”
- 케이사인 ‘위즈패스’, TTA GS인증 1등급 획득
- 세인트시큐리티, 스마트시티 전용 공공안전 플랫폼 개발 추진
- 세인트시큐리티, 동형암호 기술 기반 악성코드 탐지엔진 개발
- MaaS? TaaS?…대다수 기업들이 IT플랫폼 ‘자동차’에 관심을 갖는 이유
- 9월 ‘첨단투자지구 제도’ 본격 시행…투자 촉진 기대
- 운송중개 플랫폼 제도권 편입, 3개사 ‘플랫폼 중개사업자’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