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보안 적용 ‘생체인증 카드키’ 출시…글로벌 시장 선점
[IT비즈뉴스 오현식 기자] SK텔레콤이 양자난수생성 기술이 적용된 지문인식 보안키 ‘이지퀀트’를 15일 출시했다. 이번 출시는 차세대 보안 기술로 꼽히는 양자보안과 생체인증을 융합한 첫 번째 상용 솔루션으로 주목된다.
SK텔레콤은 이지퀀트 출시가 양자보안 기술의 적용 분야 확대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국내에서는 양자키분배기(QKD)를 기반으로 양자암호통신망이 공급된 데 이어, 양자난수생성기(QRNG)가 적용된 스마트폰(갤럭시 퀀텀)이 출시되는 등 양자보안 기술의 실적용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지퀀트는 생체인식으로 신속한 온라인 인증을 수행하는 FIDO(Fast IDentity Online) 카드형 지문보안키에 양자난수생성(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QRNG) 기술을 결합한 것이다.
QRNG 기술은 양자 역학의 특성을 활용해 예측 불가능하고 패턴이 없는 순수 난수를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특히 이지퀀트는 올 3월 FIDO 글로벌 얼라이언스가 주관하는 ‘글로벌 FIDO 상호운용성 테스트’를 통과해 전세계 FIDO 기반의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MS 오피스 365와 애저 클라우드, 구글 지메일, 유튜브, 페이스북, 세일즈포스 등 FIDO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웹인증 서비스에서 이지퀀트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 기존 생체인증으로 수행하던 PC로그인이나 사내 그룹웨어·ERP·CRM 등 업무에 필요한 모든 인증과 연동할 수 있으며, 카드키의 NFC 기능을 활용해 사무실 출입에도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 하민용 이노베이션 스위트장은 “이번에 개발된 양자난수 FIDO 인증 기술로 보안자회사인 ADT캡스, 옥타코와 사업협력을 통해 금융, 국방 등 강력한 보안 인증을 필요로 하는 서비스 모델을 글로벌하게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지퀀트는 양자암호통신 전문기업 아이디퀀티크, 생체인증 전문기업 옥타코와 SK텔레콤의 협력으로 개발됐다.
3사는 양자보안 FIDO 생체인증 보안키의 글로벌 확산을 위해 올해 미국과 싱가폴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며, 금융서비스·국방·온라인 행정·스마트 오피스 등으로 활용 분야를 계속 넓혀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 LGU+, 양자내성암호 기술 공연분야 응용서비스에 적용 확대
- 앱(App)에서 양자암호통신 구현…KT, ‘양자하이브리드’ 기술 개발
- 양자보안 적용 서비스 확대…SKT, 갤럭시퀀텀2 예판 시작
- SKT, 기업용 IP장비에 양자암호키분배기(QKD) 기술 적용 성공
- KT, 전용 단말 불필요한 ‘양자암호 비화통신’ 기술 개발
- SKT, 5G양자보안 기술 적용 ‘모바일뱅킹’ 앱(App) 출시한다
- KT,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서 ‘네트워크 지능화‘ 기술 공유
- 광주시·SKT, 양자 생태계 구현 ‘맞손’…양자기술 공급 MOU 체결
- ETRI, 암호분석 전용 플랫폼 개발…양자컴퓨터 악용 사이버공격 방어
- [포토] 홍콩 도심에 등장한 ‘삼성 갤럭시 언팩 2021’ 대형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