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비즈뉴스 최태우 기자] 버추얼랩이 17일 소재연구 플랫폼 ‘맷스큐(MatSQ’에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프로그램을 포함, 신규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플랫폼에 추가된 신규 기능은 ▲게임즈(Gamess) ▲램스(Lammps) ▲폴리머라이즈(PolymRize) 등 3종이다.
맷스큐 플랫폼은 제일원리계산(DFT) 기반의 ‘큐이(Quantum ESPRESSO, QE)’, 분자동역학(MD) 기반의 ‘램스(Lammps)’, 칼파드(CALPHAD) 등의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공해왔다.
새로 추가된 신규 시뮬레이션 기능은 DFT 기반의 게임즈 엔진이다. 램스 엔진의 경우 새로운 템플릿을 추가해 이전보다 활용 범위를 확장했다.
금속, 반도체 등 그간 시뮬레이션 엔진이 무기물질 예측에 활용된 반면 이번에 업데이트된 엔진은 주로 고분자 등의 유기물질 예측에 활용할 수 있다.
추가된 엔진은 ▲촉매(Catalysis) ▲플라스틱(Plastic) ▲탄성중합체(Elastomer) ▲전도성 재료(Conducting materials) 연구 등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폴리머의 기계적, 전기적/광학적 특성 계산 예측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게 사측 설명이다.
폴리머라이즈는 AI 기반의 고분자 물성 예측 머신러닝(ML) 프로그램이다. 버추얼랩은 미국 매트머라이즈와 지난달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서비스 오픈을 준비해 왔다.
폴리머라이즈는 맷스큐의 시뮬레이션 방법론과 함께 제공된다. 유리 전이 온도, 유전 상수, 굴절률 예측모델 등 고분자 물성예측에 필요한 약 20개의 학습모델이 제공된다.
버추얼랩 이민호 대표는 “향후 맷스큐 플랫폼에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단행할 예정”이라며 “다양한 연구분야와 방법론, 사용자를 아우를 수 있는 플랫폼으로 고도화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혁신기술 투자에 최대 300억…민간 펀드 조성된다
- 와탭랩스, 120억 규모 시리즈B 투자유치 성공
- “개발자와 ICT역량 공유”…SKT, 개발자 커뮤니티 ‘데보션’ 오픈
- 이에이트, CFD ‘엔플로우’ 강점 활용…의학·바이오 시뮬레이션 시장 공략
- 모라이, 네이버랩스와 자율주행 시뮬레이터 구축 ‘맞손’…ALT 고도화 협력
- 앤시스, 길병원·KISTI와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협력 ‘맞손’
- 버추얼랩, ‘공공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 사업 선정
- 버추얼랩, KICET와 소재 R&D 플랫폼 고도화 ‘맞손’…MOU 체결
- 버추얼랩, ‘맷스큐 글로벌 워크숍’ 영상 공개…“오픈 사이언스 모델로 정례화‘
- 버추얼랩 ‘맷스큐 에듀’, AI 소재 설계 다룬 신규 강의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