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세종파이낸스센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 [사진=과기정통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9개 중앙행정기관과 각 중앙행정기관 소속 12개 국립연구기관이 정부임무형 연구개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관별 혁신 추진계획을 수립·발표하였다.

이는 국가연구개발비가 100조원을 돌파한 시점에서 혁신을 통해 공공연구기관의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됐다.

과기정통부 등 11개 관계부처는 지난 2018년 7월 확정된 ‘국가연구개발 혁신방안’에 따라 국립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등 정부출연연구기관 외 공공연구기관의 혁신을 추진해 왔다. 이번 추진계획은 기관별 혁신을 위한 세부 이행계획이다.

핵심은 ▲연구 중심의 국립연구기관 운영체계 구축 ▲국립연구기관의 전주기 연구개발 추진체계 고도화 ▲공공연구기관의 개방형 연구생태계 구축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디지털전환, 기후변화, 신종감염병, 미‧중 기술패권 등 급변하는 환경을 과학기술 중심으로 선도하기 위해서는 국가기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국립연구기관의 혁신이 필수”라며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국가연구개발 100조원 시대에 걸맞는 국립연구기관의 혁신노력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배분, 평가 등과 연계해 지원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계부처는 2021년도부터 16개 국립연구기관 임무를 기준으로 연구개발전략, 추진현황, 주요성과 등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공공연구기관 연구개발 성과분석’을 도입‧추진하고 있다.

16개 국립연구기관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16개 국립연구기관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련기사

저작권자 © ITBiz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