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가 26일 박진규 차관 주재로 40개 산하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총괄책임자가 참석한 가운데 사이버보안 대응태세 점검회의를 열고 사안을 논의했다.
온라인 화상회의로 열린 이날 회의는 최근 국내외에서 다수 발생하는 사이버공격 위협에 대해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과 위협동향을 공유하고 기관별 사이버보안 대응태세를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박진규 차관은 “최근들어 해외 에너지 인프라를 인질로 삼거나 핵심기술을 탈취하려는 등의 사이버공격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며 “국가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은 경제적 피해는 물론 사회적인 혼란과 국가안보에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차관은 원전, 전력, 가스 등 에너지 핵심 기반시설을 관리하는 기관은 한 번의 해킹사고로도 국민 생활에 막대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지고 사이버보안에 전력을 기울여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코로나19 확산방지와 여름철 전력수요 절감을 위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여름철 휴가 분산을 적극 실시해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박 차관은 이날 회의에 앞서 산업부 소관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을 총괄하는 산업통상자원 사이버안전센터를 방문해 가설사설망(VPN) 관제상황을 점검하고 사이버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고 당부했다.
박 차관은 “국내 연구기관과 방산업체에서 발생한 VPN 해킹공격은 모두에게 위협”이라며 “각 기관은 재택근무 등 원격근무 시 사무실에서와 동일한 수준의 사이버보안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최근 5년간 국가R&D 시설·장비투자 4조2305억…충청·대경권에 집중
- 산업부, 추경 288억 확정…수출기업·조선업 인력양성 지원 확대
- 랜섬웨어 공격 받은 카세야, 복호화 키 받았다
- 상반기 주요 보안위협 사례…“핵심 인프라 공격 확대, 사회공학 기법 증가”
- 미국은 지금, 사이버 전쟁중…미국 공화당 겨냥한 해킹공격 발생
- 국내 겨냥한 랜섬웨어 공격, 상반기 78건…정부, 10월 ‘특별훈련’ 예고
- 美 크루즈 운영사 카니발, 고객정보 유출 공지
- 인스피언, 국립소록도병원·국립춘천병원에 통합로그관리솔루션 공급
- 정교한 공격, 보안 담당자 ‘번아웃’ 우려 높다
- 통일부 직원 이메일 계정 사칭한 APT공격 발견 ‘주의보’
김소현 기자
sohyun@itbiz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