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구독 유니버스’ 표방, 2025년 거래액 8조원 목표
SK텔레콤이 아마존 무료배송과 다양한 혜택을 포함한 구독 서비스 ‘T우주’를 론칭하고 구독 커머스 시장 공략을 확대한다.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 마케팅으로 2025년까지 거래액 8조원 달성을 목표로 세웠다.
SK텔레콤은 25일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구독사업 브랜드 ‘T우주’를 이달 31일 정식 선보인다고 밝혔다.
아마존, 11번가 등 쇼핑, 스타벅스와 같은 식음료, 티맵 등 모빌리티 서비스 등 다양한 소비생활 파트너사와 제휴했다. 현재 추가로 100여개 사업자와 협의 중으로 제휴를 꾸준히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아마존과 11번가 서비스를 기반으로 다양한 구독 상품을 연계한 패키지 상품(우주패스)을 마련했다.
월 9,900원의 우주패스 올 상품은 11번가 3천 포인트, 아마존 무료배송 및 1만원 할인쿠폰, 구글 원 멤버십 100GB를 기본 제공하고 추가로 고객이 다양한 개별 구독 상품(월 8천원~1만원 상당) 중 맘에 드는 1개를 선택할 수 있는 상품이다.
선택한 1개 서비스는 마음대로 매월 변경할 수 있다는 게 강점이다. 추가로 선택할 수 있는 구독 상품은 앞으로 지속 확장될 예정이다.
월 4,900원의 우주패스 미니 상품은 11번가 3천 포인트, 아마존 무료배송 및 1만원 할인쿠폰을 기본 제공하고, 추가로 웨이브 라이트 서비스나 구글 원 멤버십 100GB를 제공하는 상품이다.
아마존 무료배송은 이달 31일 11번가에 입점하는 아마존 글로벌스토어에서 시작한다. 아마존 글로벌스토어는 아마존의 수천만개 상품을 11번가 쇼핑 환경 그대로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다.
편의성도 최대한 높였다. 별도로 아마존에 회원 가입할 필요 없이, 11번가에서 아마존 상품을 검색하면 상품 정보를 한글로 보고, 11번가 결제수단 그대로 원화로 결제할 수 있다. 배송/반품/환불 관련 전담 상담센터도 운영된다.
한편 SK텔레콤은 전국 오프라인 매장에 구독 체험존과 스마트 테이블을 추가한 구독 전문매장을 1천개까지 확대하고 1천여명의 전문 컨설턴트를 육성할 계획을 밝혔다.
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개인별 취향에 맞는 구독상품을 제안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등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하이브리드 방식의 구독 마케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기 보유하고 있는 통신 데이터 및 ICT 패밀리사의 데이터 기반 위에 다양한 구독 제휴사들을 통해 들어오게 될 풍부한 데이터를 더하면서 고객과 구독상품을 연결하는 최적의 구독 커머스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AI/DT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경쟁력 강화를 위해 커버리지를 확대하고 진성고객을 식별, 고객 단위 상품 랭킹에 기반한 고객별 최적 상품을 매핑한다. 고객 상황과 요구 수준을 고려한 적시 마케팅과 개인화된 채널/메시지를 통해 소통하는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AI/DT 기반의 온오프라인 구독 커머스 플랫폼을 지향하며 ‘2025년까지 구독 가입자 3,600만, 거래액 8조원 달성’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도 세웠다.
SK텔레콤 박정호 CEO는 “T우주는 다양한 브랜드와 고객 모두가 조화롭게 공존하며 함께 성장하는 구독 유니버스를 지향한다”며 “통신을 의미했던 기존의 T에서 누구나 함께 할 수 있는(Together)의 의미를 담은 T로써 구독의 새로운 신세계를 펼쳐 보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하나캐피탈·웅진, 렌탈시장 확대 ‘맞손’…MOU 체결
- 코로나가 견인한 구독서비스 수요, “편의성 증진 위한 소비 늘었다”
- 카카오, 콘텐츠 구독 플랫폼 ‘카카오 뷰’ 론칭
- NHN, 클라우드·커머스 사업 기업공개(IPO)…“2030년 탑티어 테크기업 목표”
- 디지털 구독경제 시장 확대에 투자자 관심 Up…“지난해 93억달러 몰렸다”
- 스테이지파이브·신한은행, 유저 중심형 서비스 개발 ‘맞손’…MOU 체결
- “카톡으로 신분증 휴대, 정기배송 서비스도 지원한다”
- 한국MS·롯데렌탈, 구독형 올인원 노트북&PC 렌탈서비스 론칭
- SKT AI 플랫폼 ‘누구’, KB국민은행 리브(Liiv) 앱에 적용
- AWS, ‘아마존 텍스트랙트’ 가격 인하…서울리전은 19% 할인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