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국도 영동선·중부내륙선 80km 구간서 주행 시연
카카오모빌리티가 9일 국토교통부가 개최한 ‘화물차 자율협력 군집주행 기술개발 최종 성과발표회’에서 ‘V2x 기반의 군집주행 서비스 플랫폼 개발’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고속국도 영동선과 중부내륙선 약 80km 구간에서 장거리 군집주행 시연에 나선다고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앞서 지난해 서여주 IC~여주 JCT 8km 구간 도로에서 시험주행을 선보인데 이어 올해는 화물차의 실제 장거리 주행환경과 동일한 고속국도 영동선 및 중부내륙선 약 80km 구간에서 시연을 진행한다.
시연을 주관한 한국도로공사는 국토교통부의 지원을 받아 2018년부터 4년간 군집주행 기술 확보를 위한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운영기술 개발 국책과제를 운영해 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현대차, 국민대, 아주대 등과 함께 이 과제에서 군집주행에 참여하는 차량을 연결하는 운영서비스 플랫폼 개발과 기술 상용화를 위한 물류 운송 서비스 모델 구축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군집주행에 특화된 화물차 기사용 태블릿 앱과 플랫폼 서버를 구축해 기술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기사용 태블릿 앱에서는 ▲신규 군집 형성 ▲군집 내 역할 설정 ▲군집 합류 지점까지의 경로 안내 ▲군집주행 중 긴급상황 경고 ▲선두 차량 시점에서의 씨스루 주행 영상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플랫폼 서버는 차량 정보와 공통 경로, 합류 예상시간 등을 고려해 최대이익이 발생하는 군집을 매칭하고, 이후 실시간 교통 정보, 경로 등에 따라 최적의 합류지점을 결정해 제시하는 기술을 탑재했다.
이번 과제에서는 군집주행 상용화 시 활용될 수 있는 군집대열 참여자 간 이익공유 모델에 대한 연구도 이뤄졌다. 연비 개선, 운전 피로감 경감 등 군집 합류 시 선두 차량과 후행 차량의 혜택 비중이 다른 만큼 각 차량별 이익을 효율적으로 배분-공유하기 위한 구조다.
카카오모빌리티 기술부문 전상훈 박사는 “그간 국내외 군집주행 연구는 주로 ‘대열주행' 기술 자체에 집중돼 있었으나 이번 과제에서는 플랫폼을 통해 차량을 연결하고 군집주행이 상용화될 수 있는 플랫폼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뤄졌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KM 자율주행 얼라이언스 출범, “상용화 수준 자율주행 서비스 목표”
- 카카오모빌리티, 기업공개(IPO) 추진…입찰제안요청서(RFP) 발송
- ‘요금 인상’ 논란 카카오, 카카오T 택시·자전거 요금 개정안 백지화
- “2027년 자율주행기술 레벨4 상용화, 제도적 개선 시급”
- GS칼텍스, 카카오모빌리티에 250억 투자단행…지분 0.73% 취득
- 카카오모빌리티, V2x 기반 화물차 군집주행 플랫폼 기술 시연
- ‘2027년까지 완전자율차 기술-인프라 구축한다’…정부, 미래차 산업 발전전략 발표
- 진모빌리티, ‘택시 차고지 밖 교대 서비스’ 샌드박스 통과
- 현대차·LG엔솔, 인니 배터리 공장 ‘첫삽’…15만대 이상 NCMA 셀 생산
- 카카오엔터, 롯데글로벌로지스와 AI 기반 물류 생태계 구축 ‘맞손’